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취재파일] 노무현 전 대통령 사저 8년 만에 공개…"아방궁 아니다"

[취재파일] 노무현 전 대통령 사저 8년 만에 공개…"아방궁 아니다"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사저가 일반 시민들에게 지난 1일 전격 공개됐습니다. 낙향한 지 8년 만입니다. 노무현 재단은 “노 전 대통령 서거 7주기를 앞두고 고인의 생전 유지를 받들어 시범 개방하게 됐다”고 밝혔습니다.

개방 시간은 5월 한 달간 토, 일요일에 한해 오전 11시, 오후 1시 30분, 오후 3시 등 3차례 개방됩니다. 각각 한 번에 백 명 씩 인원도 제한됩니다.
위에서 찍은 사저 전경 모습
일명 ‘지붕 낮은 집’으로 불리는 사저는 대지 면적 1,290평에 건축 면적 182평 규모로 고 정기용 건축가가 설계한 겁니다. 채광과 통풍이 좋고 주위 자연 환경과의 조화를 고려한 단아한 한옥 구조지만, 지붕은 기와를 올리지 않고 평면 모양입니다. 그래서 지붕 낮은 집이라고 노 전 대통령이 불렀다고 합니다.
 
● 노 전 대통령 사저는 아방궁?…“소박 검소했다”
사저 전경
8년 전 노 전 대통령이 고향인 봉하 마을로 내려와 입주할 당시 일부 언론은 사저를 ‘아방궁’이라며 ‘호화 사치스럽다’고 비난했습니다. 하지만 사저를 둘러 본 대부분 시민들은 “호화롭기는커녕 너무 검소하고 소박한 모습에 대통령 집 같지 않았다”는 반응을 보였습니다. 저 또한 마찬가지 생각입니다. 

사저 입구에 들어서면 맨 먼저 차고지가 나옵니다. 이곳에는 노 전 대통령이 당선 뒤에 청와대로 가기 전 3개월 동안 타던 승용차가 보관돼 있습니다. 지금은 폐차돼 기록 말소된 차량이라고 합니다. 그 옆으로 소형 농사용 경운기와 손녀를 태우고 돌아 다녔던 4발 자전거도 있습니다. 
대문 내부
노무현 전 대통령 사저 공개 - 대문 입구 + 대문 내부
차고지 오른쪽 계단을 올라가면 집 입구 대문이 보입니다. 대문 안에 들어서면 ‘중정’이란 마당이 보이고 그 왼쪽이 경호동, 중앙엔 서재, 오른쪽엔 사저가 있습니다. 대통령이 경호하기 번거롭다며 경호동과 사저를 조그마한 마당을 사이에 두고 연결 시켰다고 합니다. 배려심이 보이는 대목입니다.
유일하게 표지석이 있는 산딸나무의 사연
대문 밖에서 오솔길을 따라 10여 M 걷다보면 산딸나무 한 그루가 심어져 있습니다. 이 나무에는 사연이 있습니다. 제주 4,3 유족회에서 2008년 11월16일 기증해 심은 나무입니다. 노 전 대통령이 집권 뒤 제주 4.3 항쟁에 대해 정부 차원에서 공식 사과하고 국가 기념일로 지정해 준데 대한 감사의 뜻으로 보낸 준 것이라고 합니다.

● 사랑채, 노 전 대통령이 좋아했던 곳…채광과 풍광 좋은 소담한 공간
 사랑채 전경
산딸나무를 지나 사저 안쪽 마당으로 들어서면 사랑채와 거실이 보입니다. 사랑채를 먼저 가보죠 사랑채를 들어가면 한 눈에 밝다는 느낌이 듭니다. 정남향으로 지어져 인공조명 없이도 밝습니다. 유리를 많이 사용해 자연 채광으로 겨울철에도 충분한 난방효과가 있도록 설계됐습니다. 노 전 대통령은 이곳에서 손님을 맞이하고 가족이나 보좌진들과 함께 식사를 하기도 했습니다.
사랑채 동쪽 창문
사랑채 동쪽에는 네 쪽 병풍 느낌을 갖게 디자인된 창 너머로 사자바위 등 봉화산의 풍경을 한 눈에 볼 수 있습니다. 이 창을 통해 봉하마을의 가장 아름다운 풍경을 볼 수 있다고 하여 가장 전망이 좋은 자리를 손님에게 내어 주기도 하는 등 노 대통령이 가장 좋아하던 곳이라고 합니다.
사랑채 남쪽 뱀산 전경
사랑채 남쪽으로는 저 멀리 뱀산이 보입니다. 뱀산에는 노 전 대통령이 움막을 짓고 고시공부를 하던 곳이 있습니다.
액자 신영복 글 '사람사는 세상'
대통령 취임식 액자
남쪽 벽면에는 고 신영복 선생의 ‘사람사는 세상’이란 글씨가 걸려 있습니다. 평소 고인이 가장 좋아했던 글귀 가운데 하나입니다. 서쪽 벽면에는 대통령 취임식 사진이 걸려 있습니다. 한 해외동포가 취임식장에 초대 받지 못해 입장할 수 없게 되자 근처 높은 빌딩에서 촬영해 보관해 오다 대통령 퇴임 후 보내온 것입니다.
 
● 서재 : 민주주의 발전과 진보의 미래에 대한 집필 활동 및 토론의 산실
서재 겸 회의실 전경
노 전 대통령이 사랑채와 함께 가장 좋아했던 공간은 서재입니다. 이곳은 고인이 주로 독서와 집필을 하거나 보좌진들과 민주주의의 미래 등을 토론하고 회의했던 회의실이기도 했습니다. 친환경 생태농업 시행을 위한 보고나 회의도 이곳에서 이뤄졌습니다.

노 전 대통령은 이곳에서 업무를 보다가도 봉하마을을 방문한 많은 시민들의 “대통령님 나와 주세요”라고 외치는 소리가 들리면 나갔던 곳이기도 합니다. 처음에는 한 두 차례 시작해서 점차 그 횟수가 늘어나 많을 때는 하루에 13차례나 나가며 시민들과 소통하기도 했다고 합니다.
 
● 서재엔 노 대통령의 유품 전시, 책과 안경, 필기도구, 밀짚모자...
 책장 서적
서재엔 노 전 대통령의 살아 생 전 유품이 많이 전시돼 있습니다. 고인은 독서량이 방대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죠. 한 번에 한 권씩 읽는 게 아니라 동시에 여러 권을 읽는 습관을 가지고 있는데, 그의 서재에는 역시 1천 권이 넘는 책들이 책장에 꽂혀 있습니다. 책상 위에도 읽던 책들이 여러 권 놓여 있었습니다.
안경, 필기도구
옷걸이 밀짚모자
평소 독서할 때 쓰던 안경과 필기도구 등도 놓여 있었고, 서재 옆에는 노 전 대통령이 시민들과 만날 때 사용했던 트레이드 마크인 밀짚모자가 옷걸이에 걸려 있습니다.
취임 선서 액자
서재 측면 벽에는 대한민국 제16대 대통령 취임 선서문이 액자에 걸려 있습니다.
 
● 거실 및 침실 : 대통령 내외의 유일한 생활공간…시민과 소통하는 개인 작업실
거실 전경
안채는 대통령의 개인적 생활 공간으로 거실과 침실이 있습니다. 노 전 대통령은 주로 거실에서 개인 작업을 했다고 합니다. 민주주의 포털 사이트인 ‘민주주의 2.0’을 직접 만들어 시민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직접 글을 올려 토론하는 등 끊임없이 소통작업을 했던 곳입니다.
 
● 노 전 대통령이 서거 직전 유서를 썼던 컴퓨터도 보관
컴퓨터 모니터 2대
거실에서 단연 눈에 띄는 것은 컴퓨터 2대가 놓인 책상입니다. 노 전 대통령이 서거하기 직전 새벽에 이곳에서 마지막 유서를 남겼기 때문입니다. 노 전 대통령은 책상에 컴퓨터 모니터 2대를 설치해 사용했는데, 한 대는 글쓰기용으로 나머지 한 대는 자료 조사 및 찾기 용으로 사용했다고 합니다.
 
● 침실은 사생활 공간…부분 공개
 침실
거실 오른쪽에는 노 전 대통령과 부인 권 양숙 여사의 침실이 있습니다. 너무 사적인 공간이라 이번에는 침대만 조금 보이도록 살짝 문을 열어 놓는 정도로 공개했습니다.
 
● 사저의 정원은 아담하고 소박…애착 많았던 매실 나무는 시름시름
매실나무
사저 내 정원에는 기증받은 나무들이 제법 많습니다. 전체적으로 소박하고 아담한 정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 가운데 노 전 대통령이 유독 애착을 가졌던 나무 한 그루가 있습니다.

바로 매실나무인데요. 많은 분들이 사저에 나무를 기증하겠다고 했을 때 노 전 대통령이 거절했는데, 진주 단성면을 방문 했을 때 유독 이 나무를 맘에 들어 하자 나무 주인이 흔쾌히 기증하여 지금의 이 자리에 이식했다고 합니다.

그런데 노 전 대통령 서거 이후 이 나무는 지금 시름시름 앓고 있다고 합니다. 나무 밑 둥에 껍질이 벗겨지고 상태가 좋아 보이지 않습니다. 노무현 재단은 현재 치료 중에 있지만 정확한 원인을 알 수 없어 안타깝다고 합니다.
 
● 시민 반응…“사저 너무 소박 검소”, “노 전 대통령이 새삼 그립다”
 시민 울먹이는 모습
시민들 둘러보는 모습
사저를 둘러 본 시민들은 한결 같이 소박하고 검소한 모습이란 반응을 보였습니다. 경남 진해에서 가족과 온 박혜진 주부는 “주위에서 저희가 그냥 볼 수 있는 집, 전혀 한 나라의 대통령 집이라고 느껴지지 않을 만큼 소박하고 소탈한 집”이라고 말했습니다.

대전에서 왔다는 주충익 씨는 “생각했던 대로 너무 소박하고 서민의 삶이 많이 묻어났던 것 같다“며, ”어차피 돌아 가셨지만 한 번 더 뵙고 싶기도 하고 많이 그립다“고 착잡한 심경을 숨기지 않았습니다. 목포에서 왔다는 노은아씨도 ”아들이 영화 변호사를 본 뒤 존경심을 더 갖게 돼 같이 왔는데 여기 들어선 뒤 내내 그립다는 생각 밖에 안 들었다“고 소회를 밝혔습니다.
 
● “필생의 과업으로 ‘진보의 미래’ 저술 마무리 짓고 싶어 했다”
오상호 사무처장 설명하는 모습
묘소 참배 모습
노무현 재단 오상호 사무처장은 노 전 대통령 생전 이 사저를 ‘지붕 낮은 집’이란 표현을 즐겨 사용했다고 회고 했습니다. ‘자연과 어우러지는 집’을 철학 기조로 해 전통 한옥 양식이기는 하지만, 지붕도 기왓장을 올리지 않고 평면으로 평평하게 했다고 합니다. 오 처장은 노 전 대통령이 이곳에서 필생의 사업으로 두 가지를 실천하려 했다고 합니다.

첫째는 고향 김해와 가야문화 경남 부산을 아우러는 생태농업을 미래 먹거리로 삼아 시민의 삶을 실천해 보려 시도했다는 겁니다. 두 번 째로 좋은 책을 만들고 싶어 했다고 합니다. 그 주제는 국민의 더 나은 삶과 민주주의 발전, 진보의 미래에 대한 909가지 질문을 가지고 비전을 제시해 보고 싶다는 꿈이 있었다고 합니다.

그 꿈은 중도에 멈춰 섰지만 다른 많은 사람들의 꿈으로 대신 이어져 오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재단은 올해 한 두 차례 시범 공개를 더 한 뒤 내년 모든 사람들에게 정식 공개할 예정입니다.

▶ 유서 쓴 컴퓨터도 그대로…'봉하 사저' 공개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