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드론 배터리는 '시한폭탄'…공단 무단 비행 막아야

국내 드론 편대 비행의 선두 주자인 UNIST(울산과기원) 손흥선 교수(기계 및 원자력공학부)는 "대부분의 드론에 장착되는 리튬 폴리머 배터리는 폭발성이 높아 위험하다"고 경고했습니다.

손 교수는 "중국에서 생산된 안전장치 없는 배터리가 국내 무분별 반입되고 있다"며 "안전장치가 있더라도 추락해 파손되면 바로 폭발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배터리를 대체할 안전한 고출력 배터리는 개발 중이어서 대체 배터리가 나올 때까지 드론 비행에 이 위험한 배터리가 사용될 수밖에 없습니다.

리튬 배터리는 폭발하면 2∼3m의 불꽃이 일 정도로 위험합니다.

최근 한 대학 연구소에서 리튬 배터리를 충전 하던 도중 폭발해 불이 날 뻔했고, 아파트에서 충전 중 터져 불이 난 적도 있으며 충북 영동소방서에서 시행한 실험에서는 충전 중 5분 만에 배터리가 폭발했습니다.

3㎏의 드론이 상공 100m에서 추락하면 시속 50㎞로 달리는 오토바이와 충돌하는 충격과 비슷한데, 드론은 500m 상공에서도 비행할 수 있어 더 높은 곳에서 떨어질수록 충격은 커집니다.

이처럼 '시한폭탄' 같은 드론이 각종 위험 화학물질을 저장하고 있는 석유화학공단 상공에도 아무런 제한 없이 비행할 수 있습니다.

울산의 한 석유화학업체 관계자는 "허가를 받지 않고 어디서 조종하는지 알 수 없는 드론이 공장 상공을 왔다 갔다 할 때가 있다"며 "그럴 때마다 보안안전 관계자가 깜짝 놀란다"고 말했습니다.

최근 한 드론 동호인은 울산석유화학공단 인근에서 드론을 조종하다 비행을 제어하는 무선조종기 주파수 한계를 넘어가 결국 드론을 잃어버리는 일도 있었습니다.

보급 대중화로 누구나 드론을 날릴 수 있게 됐지만 공단 주변에서 개인의 드론 비행을 제한하는 법규는 제정되지 않았습니다.

국가보안시설인 산업체, 공항, 군사시설 주변은 보안이나 항공기 안전 문제 등으로 국방부의 허가를 받아 드론을 띄워야 하지만 개인 드론까지 일일이 단속하기는 어렵습니다.

개인 보급형 드론도 무선조종을 통해 2∼3㎞까지 날아갈 수 있고, 자동차 등 폐쇄된 공간에서 조정할 수 있어 어디에서 누가 드론을 날렸는지 알기도 쉽지 않습니다.

그러나 '하늘의 산업혁명'으로 불리는 드론산업이 전 분야로 쓰임새가 확산하고 있어 세계시장과 경쟁하려면 규제만이 능사는 아니라는 지적도 나옵니다.

손 교수는 "개인과 특수목적용 드론으로 구분해 규제해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

동호인을 위해서는 자치단체와 정부가 보안과 안전이 문제되지 않는 곳을 비행 전용 공역으로 지정해 민간이 창의성을 실험·발휘하도록 도와야 한다는 것입니다.

또한 "환경·안전·산업체 설비점검 등 공익과 관련한 특수목적용 드론은 배터리 안전성을 철저히 점검한 뒤 비행을 상시 허가해야 드론 활용산업의 발전을 꾀할 수 있다"고 손 교수는 밝혔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