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취재파일플러스] 전투 사라지고 '도발'만 남은 연평도 포격전

연평도 포격 5주기를 맞아 올해부터는 이 사건을 연평도 포격전으로 명명하고 재평가하려는 움직임이 일었었는데요, 결국, 군이 이런 방침을 철회하고 이전처럼 그냥 연평도 포격 도발이라 부르기로 최종 결론을 내렸습니다.

대통령도 국민의 영웅이라고 칭했을 만큼 목숨 걸고 싸워서 이긴 연평부대 장병들에겐 참으로 억울한 결과입니다. 김태훈 기자의 취재파일입니다.

2010년 11월 23일 연평도와 연평부대는 혼자였습니다. 군 지휘부는 확전을 우려했는지 전투기를 띄우긴 했지만, 미사일을 탑재하지 않았고 연평도와 개머리 진지 사이 서해 해상에 있던 함정들을 대피시켰습니다. 연평부대에 사격 명령도 내리지 않았습니다. 그런데도 연평부대는 지휘부 없이도 의연하게 대처했습니다.

군 교범대로 충실히 따랐다면 포 7중대원은 한시바삐 피신하고 반격은 다른 포대에 맡겼어야 했지만, 부대에 북한을 타격할 수 있는 화력이라곤 포 7중대의 k-9 자주포 여섯 문뿐이었기에 맞으면서도 반격하는 교범에도 없는 전투를 펼친 겁니다.

중대장의 말을 빌리자면 포7 중대는 선제공격 명령을 받으면 북한의 개머리 진지와 무도를 지도에서 지워버릴 수 있을 정도로 항상 대비태세가 갖춰져 있었기에 가능했습니다.

그래서 북한의 집중 포격을 받으면서도 동시에 피폭된 K-9 자주포의 불을 진화하고 또 고치면서 대응 사격을 할 수 있었던 겁니다.

북한군에게는 사망 10여 명, 부상 20여 명이란 패배를 안겨 줬습니다. 따라서 해병대 사령부가 지난 9월 공식 명칭을 ‘연평도 포격 도발’에서 ‘연평도 포격전’으로 변경해 달라고 국방부에 건의한 건데요, 끝내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

'도발'이라고 정의해 둬야 북한의 불법 행위를 부각시킬 수 있어서 북한에게 사과를 요구할 수단이 확보된다는 점, 그리고 '포격전'으로 규정하면 NLL 인근 수역을 국제 분쟁 지역화하려는 북한의 전략에 말려들어 가는 꼴이 될 수 있다는 점이 '도발'이라는 이름을 유지하려는 논리입니다.

하지만 북한은 이미 승전 선언까지 한 판이고 우리가 뭐라고 부른들 어차피 NLL은 국제 평화 지역이 될 수 없습니다.

정부 주관으로 추모 행사를 개최하는 건 이제 올해가 마지막이었는데요, 5년 전의 일을 제대로 평가하려는 작업은 이렇게 무산됐습니다.

▶ [취재파일] 연평도 포격 5년…전투는 사라지고 도발만 남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