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건강이 최고 식중독에도 '잠복기'가 있다

건강이 최고 식중독에도 '잠복기'가 있다
여름은 식중독 사고가 많은 계절이다.

이중에서도 최대 휴가철인 8월은 식중독에 특히 주의해야 한다.

이런 사실은 식품의약품안전처의 2010~2014년 식중독 월별 통계자료에서 확인된다.

5년 사이 식중독 발생 건수는 8월이 4천676명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6월 4천457명, 9월 3천706명 등의 순이었다.

더욱이 올해는 장마가 끝나고 이달 중순까지 찜통더위가 본격적으로 기승을 부릴 것으로 보여 각별한 식중독 예방 노력이 필요할 전망이다.

식중독은 음식이 세균, 기생충, 독소, 화학물질 등의 유해 물질에 오염됐을 때 생길 수 있는 질환으로, 바이러스가 원인인 바이러스성 장염도 식중독의 일종이다.

더운 여름철에 식중독 환자가 많은 이유는 25도 이상의 온도에 음식물을 둔 채로 6∼11시간이 지나면 식중독균인 장염비브리오균, 살모넬라균, 황색포도상구균 등이 번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식중독의 가장 흔한 증상은 구토, 설사, 복통이지만 발열이나 두통, 오한, 근육통, 어지러움, 부정맥, 호흡곤란, 마비와 같은 증상도 생길 수 있다.

상당수 식중독은 원인에 따라 나타나는 증상이 다르다.

구토가 가장 현저한 증상이라면 포도알균 식중독, 구토형 세레우스 식중독, 노로바이러스 감염증 등을 먼저 의심할 만하다.

고열이 동반된 경우라면 살모넬라 위장관염, 세균성 이질 등을 먼저 생각해 볼 수 있다.

특이한 증상을 일으키는 식중독도 있다.

'버섯 독소'는 환각을, 복어에 있는 '테트로도톡신'(tetrodotoxin)은 운동신경장애를, '보툴리눔'(Botulinum)은 사물이 겹쳐 보이는 복시, 운동 장애, 대화 곤란, 눈꺼풀 처짐 등의 증상을 유발한다.

음식을 먹고 나서 빠르면 1시간, 늦어도 72시간 안에 위와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식중독 증상이 나타나면 보통은 마지막에 먹은 음식이 상했다고 추정하기 쉬운데 이는 잘못된 생각이다.

식중독은 그 원인에 따라 수 분에서 수 일까지 잠복기가 다양하므로, 마지막으로 먹은 음식이 식중독을 일으켰다고 할 수는 없다.

음식을 먹고 식중독이 의심된다면 같은 음식을 먹은 사람의 증상도 살펴보는 것이 좋다.

같은 음식을 먹은 2명 이상이 구토, 설사, 복통 등의 증상을 보이면 일단 식중독을 의심하고 병원을 찾는 게 바람직하다.

설사가 날 때 자가진단으로 지사제(설사약)를 먹는 것은 위험한 행동이다.

특히 소아의 경우 설사를 억제하기 위한 지사제 복용은 절대 금물이다.

소화기 질환 특화병원인 비에비스 나무병원 홍성수 병원장은 "지사제를 함부로 복용하면 장내의 식중독균 및 독소를 배출하지 못하게 돼 질병에 노출되는 기간이 되레 길어 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복통이나 구토를 완화시키기 위한 약물 치료는 도움이 될 수 있다.

특정 세균에 의한 식중독일 경우 항생제도 제한적으로 도움이 된다.

예를 들어 시겔라균에 의한 여행자 설사의 경우 항생제 치료로 질병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만약 식중독에 걸렸다면 설사로 인한 탈수를 막는 게 필수적이다.

생수나 보리차를 조금씩 자주 마시는 것이 좋고 알코올, 카페인, 설탕 함유 음료는 피해야 한다.

설사는 물처럼 보이지만 그 속에는 전해질이 녹아있으므로, 보충을 위해 이온음료를 먹는 것도 도움이 된다.

하지만 당 성분이 많이 함유돼 있는 이온 음료를 그냥 마시면 설사가 더 심해질 수 있는 만큼 물에 희석해 섭취하는 게 좋다.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