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이통사 배불리는 '단통법'…소비자 불만 폭발

최성준 방통위원장 "이통사 보조금, 생각보다 낮게 책정돼"

<앵커>

통신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만든 단말기 유통구조 개선법 때문에 오히려 소비자의 부담이 더 커졌단 불만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보조금은 줄어들고 요금은 그대로여서 결국, 통신사들만 웃고 있습니다.

정영태 기자입니다.

<기자>

단통법 시행 첫날인 어제(1일) 이동통신사들은 최신 스마트폰에 8만 원~15만 원까지 보조금을 지급한다고 공시했습니다.

그것도 매달 9만 원 이상 요금제를 2년 약정했을 때만 받을 수 있습니다.

정부가 보조금 상한선으로 정한 34만 5천 원에 턱없이 모자라는 액수입니다.

법 시행 전 온라인 가격과 비교하면 갤럭시 S5와 아이폰 5S 구입가는 오히려 더 비싸졌습니다.

출시된 지 15개월이 지난 전화기는 보조금 규제가 없다는 게 단통법의 장점으로 설명돼 왔습니다.

그러나 출시 2년이 지난 이 휴대전화는 최고 보조금이 29만 원에 불과해, 여전히 40만 원 넘게 줘야 살 수 있습니다.

보조금을 줄이게 된 이통 3사는 엄청난 추가 수익을 기대하게 됐습니다.

[이용구/통신소비자협동조합 상임이사 : 저희가 예상했던 최악의 결과가 나타났습니다. 보조금만 규제했을 때 그 남는 부분이 전부 소비자에게 부담으로 전가되는 그런 결과가 오늘 벌어졌습니다.]

위약금 부담은 더 커졌습니다.

지금까진 2년 약정 뒤 중도 해지하더라도 할인받은 요금분만 돌려내면 됐지만, 앞으로는 받았던 보조금까지 토해내야 합니다.

최성준 방송통신위원장도 현장을 둘러보고 위약금 강화와 낮은 보조금으로 소비자만 손해 본다는 지적이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