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지하 빈 공간 알아도 "포장보수만"…땜질 처방

<앵커>

어제(24일) 보도해드린 것처럼 서울시는 이미 2년 전부터 주요 도로 가운데 지하의 빈공간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구간을 200곳 가까이 파악하고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그 이후 서울시의 지반 조사와 관리는 어떻게 이루어졌을까요. 수억 원을 들여 근본 대책을 마련할 것처럼 나섰지만 제대로 된 후속조치는 없었습니다.

뉴스 인 뉴스, 김도균 기자입니다.

<기자>

재작년 시내 곳곳의 빈 공간 발생 위험 구간을 파악한 서울시는 도로포장조사팀이라는 새로운 부서까지 만들었습니다.

레이더 탐사 장비인 GPR, 지지력 측정 장비인 FWD 등에 수억 원을 들인 서울시는 도로침하의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해 대형사고를 예방하고, 빈 공간이 생기는 원인까지 찾아내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서울시 기자회견/지난해 4월 : GPR 탐지 범위는 지하 4미터까지, 시속 20km 이하로 주행하면서 지하의 상태를 속을 들여다볼 수 있는 장비가 되겠습니다.]

하지만 1년 반이 지난 지금, 도로 정비를 위해 지반 상태를 전달받아야 할 도로사업소의 설명은 다릅니다.

[서울시 도로사업소 직원 : 거기서 도로 파손율에 대한 게 내려오면 저희는 포장보수만 하고 있거든요? 동공 같은 게 발견돼서 사전에 감지하면 좋죠. 얼마나 좋겠어요.]

여전히 겉을 덮는 데 급급하다는 겁니다.

서울시가 가지고 있는 레이더 탐사 장비 GPR에 대한 설명도 처음과 다릅니다.

[서울시청 직원 : 지반이라고 하기는 그렇고 포장 하부라고 할게요. 도로 포장 아래 약 1.5미터 이상은 보지 못하거든요. 저희가.]

지난 5월 지반 분석을 전담한 센터 급의 새로운 부서를 또다시 만들었지만, 2천500킬로미터에 달하는 도로를 조사하는 장비는 여전히 한 대씩, 인원도 다섯 명뿐입니다.

결국 지난달 해당 부서 보고서에서는 지반 상태 분석이 사실상 중단됐다고 돼 있습니다.

[조원철/연세대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교수 : 지표면이라고 하는 것이 지반을 근거로 해서 지표면이 있는 것이기 때문에 지질조사를 먼저 해야죠.]

서울시는 오는 28일 이런 문제까지 포함해 싱크홀 종합 대책을 발표하겠다고 예고한 상태입니다.

(영상취재 : 주용진·하 륭, 영상편집 : 박춘배)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