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독일-일본, 두 도시 운명 가른 '거버넌스' 힘

<앵커>

행복한 일자리를 위한 사회적 대화의 방향을 모색하는 SBS 연속 기획보도입니다. 오늘(10일)은 같은 시기에 비슷한 위기를 만났지만 완전히 다른 방식으로 대응했던 독일과 일본의 두 도시를 비교합니다.

이병희 기자입니다.



<기자>

한때 석탄으로 유명했던 일본 유바리시입니다.

1980년대 석탄 산업이 사양길로 접어들면서 지금은 몰락한 도시로 전락했습니다.

당시 나카타 시장은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관광 산업을 의욕적으로 추진했지만 모든 걸 독단으로 처리했습니다.

[후나하시/유바리시 전 직원 : (나카타 시장은) 독재자였습니다. 시민들 사이에서는 물론이고 유바리 시의회에서도 그를 비판하는 이야기는 나오지 않았습니다.]

결과는 참담했습니다.

무리한 사업 진행으로 시 예산의 10배가 넘는 빚을 지면서 결국 2006년 재정파탄을 선언했습니다.

석탄과 철강 산지였던 독일의 중소도시 도르트문트도 유바리시와 유사한 위기를 맞았습니다.

지금은 넓은 녹지대로 바뀐 이곳은 대형 철강회사인 티센 크룹이 있던 자리입니다.

지난 90년대 초 티센크룹이 중국으로의 이전 계획을 발표하면서 이곳에서 근무하던 직원 3만 명이 한꺼번에 일자리를 잃게 되는 지역 경제의 심각한 위기상황이 시작됐습니다.

한때 7만 명이 넘던 석탄, 철강 분야의 일자리는 10분의 1 수준으로 뚝 떨어졌습니다.

하지만 30년이 지난 지금, 도르트문트는 IT와 바이오, 전기차 등 신기술 분야의 대형 클러스터 단지로 화려하게 변신했습니다.

두 중소도시의 운명이 갈린 데에는 결정적인 이유가 있었습니다.

공통의 문제 해결을 위해 당사자들이 대화하고 협력하는 사회 시스템인 '거버넌스'의 차이입니다.

도르트문트 노동자들은 일자리 위기 상황에서 새로운 산업으로 전환하자고 먼저 제안했습니다.

[에버하르트 베버/당시 독일노총(DGB) 지역위원장 : 단순히 클러스터 이론을 이야기한 것이 아닙니다. 중요한 것은 이 도시의 다음 세대들이 어떻게 좋은 일자리를 가지느냐였죠.]

시 정부는 기업과 노동계, 대학 등 모든 주체들이 참여하는 사회적 대화를 시작했고 사회적 합의를 통해서 10년 동안 7만 개의 일자리를 만들었습니다.

결국, 독일의 도약은 일자리를 위해 노-사-정이 서로 협력하는 거버넌스를 발전시킨 사회적 합의에 있었습니다. 

(영상취재 : 이원식, 정상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