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거친 흙길도 쌩쌩'…오프로드 자율주행 기술 첫 개발

<앵커>

현재 개발되고 있는 자율주행 기술 대부분은 평탄한 아스팔트 도로를 달리는 상황을 전제로 하고 있죠. 그렇다 보니 흙길과 같은 환경에서는 먼지나 진흙 등을 장애물로 인식해 자율주행 중 멈춰 서는 경우가 많은데요. 국내 연구진이 이런 장애물들을 실시간으로 인식해 제거할 수 있는 고성능 환경 인식 기술을 국내 최초로 개발했습니다.

조혜원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거친 흙길을 달리는 자율주행차.

기존에는 눈과 비, 주행 중 튀는 흙탕물을 장애물로 인식해 멈춰 서기 일쑤였지만, 물체의 밀도 등을 기반으로 이러한 작은 신호를 빠르게 제거하는 센서 신호 보정 기술이 적용돼 거침없이 질주합니다.

센서 보호와 세정 모듈 기술을 통해 센서 표면에 튀는 흙탕물도 세척액으로 실시간 닦아내 오프로드 환경에서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합니다.

한국기계연구원이 국내 최초로 흙길도 자율주행으로 달릴 수 있는 고성능 환경 인식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자율주행차의 눈으로 불리는 '라이다' 센서와 카메라 소프트웨어 개발을 통해 속도와 정확도 등 주요 성능을 기존 대비 1.5배 이상 향상 시켰습니다.

[김민극/한국기계연구원 산업기계DX연구실 선임 : 주행 중에 튀어 오를 수 있는 이물질을 실시간으로 제거하면서 주행을 할 수 있는 점이 있겠고, 갑작스럽게 나타난 장애물이나 지면의 변화, 지속적인 변화 이런 것들에 대응해 경로를 실시간으로 생성해 가면서….]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향후 자율주행이 적용될 굴착기와 덤프트럭 같은 산업 기계는 물론 전차나 수색 차량 등 국방용 무인 차량에도 적용이 가능할 전망입니다.

[이한민/한국기계연구원 책임연구원 : 비정형적인 환경에서 오는 환경 인식 문제들이 있었기 때문에 저희가 이번에 개발한 기술들을 잘 적용을 하면 그런 야지의 자율주행 차량에 잘 접목을 시키고 그런 무인화 자율화 기술을 앞당길 수 있다.]

연구원은 관련 기술을 유관 기관에 기술 이전했고, 향후 추가 연구를 통해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계획입니다.

(영상취재 : 김용태 TJB)

TJB 조혜원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