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보조금 늘려도 시장 반응은 '미지근'…'원가 절감' 경쟁

<앵커>

주춤하고 있는 국내 전기차 판매량을 늘리기 위해 정부가 보조금을 많게는 1백만 원 더 지원하기로 했지만 소비자들의 반응은 여전히 미지근합니다.

수입 전기차를 사는 사람들이 크게 늘고 있는 것과는 비교되는 상황인데, 왜 그런 건지 한지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서울의 한 자동차 대리점입니다.

전기차가 이전보다 싸졌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자동차 대리점 : 9월하고, 10월하고 금액 차이가 확 나요. 320만 원 해주고 정부에서 보조금 나오잖아요. 그 나오는 거에 플러스 80만 원을 또 해줘요.]

올해 전기차 판매 증가율이 마이너스로 전환된 가운데, 정부는 연말까지 보조금을 최대 100만 원 늘려주는 정책을 내놨지만, 시장 반응은 아직 미지근합니다.

[A 자동차 대리점 : (보조금 늘린다고 하고 나서 어때요?) 거의 똑같아요.]

[B 자동차 대리점 : (실질적으로 많이 문의가 있었어요?) 갑자기 확 이렇게 늘어나고 그러지는 않습니다. (차량) 금액 자체가 있으니까….]

차 값이 여전히 걸림돌로 작용하는 겁니다.

기아의 EV9의 경우, 7천만 원대부터 시작하는 가격이 판매 부진의 원인으로 꼽힌 반면, 테슬라의 모델Y는 중국산 리튬인산철, LFP 배터리 장착으로 차 값을 2천만 원가량 낮추면서 9월 판매량이 8월의 10배 수준으로 뛰었습니다.

이에 따라 국내 업체들은 소형 모델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저렴한 LFP 배터리 적용을 확대하고, 4천만 원대부터 시작하는 대중 모델을 공개하는 등 값싼 전기차에 주력하는 모습입니다.

[손일선/오산대 스마트자동차학과 교수 : LFP배터리를 사용하는 게 일반적인 대세가 될 것 같습니다. 국내에서도 (LFP배터리를) 개발하고 준비하는 대기업하고 중소기업이 있어요. (살 때 가격이) 3천만 원 후반, 4천만 원 초반으로 맞춰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테슬라와 폭스바겐 등 해외 업체들이 2만 달러대 전기차 개발에 나선 상황에서, 전기차 가격을 내연기관차 수준으로 낮출 배터리와 제조공법 기술이 경쟁력을 좌우할 전망입니다.

(영상편집 : 김병직, VJ : 김영래)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