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장마 때 감전 피하려면 이렇게…침수된 곳 주의할 점

<앵커>

거리나 집에서 침수 사태가 발생할 경우 가장 조심해야 할 것 중 하나가 감전 같은 2차 사고 위험입니다.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최승훈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기자>

물이 휩쓸고 가 엉망이 된 집 안에 세탁기와 선풍기 등 전자제품이 널브러져 있습니다.

실내가 침수될 위험이 있을 때는 물이 실내로 들어차기 전에, 먼저 누전 차단기를 내리고 가스 밸브를 잠가야 합니다.

감전사고 예방을 위해 가전제품 플러그는 뽑아놓는 것이 좋은데, 전기가 통하지 않는 마른 천이나 고무장갑을 이용해야 합니다.

[이영주/서울시립대 소방방재학과 교수 : 급작스럽게 물이 들어와서 조치를 못 한다면 빨리 그곳을 일단 빠져나오는 것. 건물의 전원이라든지 가스를 차단하고 신속하게 그곳을 나오시는 게 (안전합니다.)]

지하 주택이나 상가 등 지하 공간에서는 물이 조금이라도 차오를 경우 즉시 몸만 대피해야 합니다.

건물 밖 거리에선 각종 시설물에 2차 사고를 당할 수 있습니다.

신호등이나 전봇대 등 전기가 통할 수 있는 물체들에 가까이 가지 말고, 전신주나 가로등, 입간판 등이 넘어져 있을 때는 절대 접근하지 말고 119나 123에 신고해야 합니다.

특히, 무게가 40kg 정도 나가는 맨홀 뚜껑은 역류할 경우 버스를 들썩이게 할 정도로 위력적입니다.

또 맨홀 뚜껑이 열린 걸 못 보고 빠질 우려가 있어 각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이영주/서울시립대 소방방재학과 교수 : (도로) 중심부 쪽에 (맨홀이) 설치돼 있다 보니까 식별이 안 될 때는 주변에 있는 건물 벽이라든지 담벽을 따라 걷는 것이 오히려 안전하실 수 있습니다.]

폭우가 쏟아질 땐 급속도로 물이 불어날 수 있는 만큼 하천 주변에는 접근하지 않는 게 좋습니다.

(영상편집 : 이상민)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