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한미, 북한 핵 개발 자금줄 동시 제재…사이버 공조 속도

<앵커>

한국과 미국 두 나라가 북한의 핵과 미사일 개발의 자금줄 역할을 해온 사이버 외화벌이를 차단하기 위한 제재에 나섰습니다. 지난달에 이어 2번째 이뤄지는 동시 제재로, 사이버 분야 공조에 한미 양국이 속도를 내는 모양새입니다.

워싱턴 남승모 특파원입니다.

<기자>

미 재무부가 북한 대량살상무기 개발 자금 조달과 악의적 사이버 활동에 관여한 기관 4곳과 개인 1명을 제재한다고 밝혔습니다.

북한 국방성 산하 진영정보기술개발협조회사와 그 총책임자인 김상만을 포함해 110연구소, 지휘자동화대학, 정찰총국 산하 기술정찰국이 명단에 올랐습니다.

각각 외화벌이나 해킹, 사이버 전술 개발 등에 관여해온 곳들입니다.

[에블릴 헤인스/미 국가정보국장 (지난 4일) : 북한의 사이버 범죄는 북한 핵무기 프로그램에 필요한 자금을 도달할 뿐 아니라 중요한 네트워크에 사이버 위협이 됩니다.]

우리 외교부도 IT 해외 외화벌이에 관련된 북한 기관 3곳과 개인 7명을 독자 제재 대상으로 지정했습니다.

미국 제재 명단에 오른 진영정보기술개발협조회사와 함께, 군수공업부 산하 동명기술무역회사와 금성학원이 제재 대상에 올랐습니다.

금성학원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아내 리설주가 다닌 예술 영재학교로, 최근에는 IT·사이버 영재도 양성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밖에 개인으로는 김상만 등 제재 기관 관계자들과 자금 세탁책 등이 포함됐는데, 해외에 파견된 IT 인력들을 감시 통제하는 등 인권 유린도 해온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한미 양국의 사이버 분야 대북 동시 제재는 지난달 24일 조선광선은행 소속인 심현섭 제재 후 2번째입니다.

한미는 또 샌프란시스코에서 20개국이 참여하는 공동 학술 토론회를 열고 북한 IT 인력의 활동 방식과 제재 회피 수법을 공유하는 등 사이버 제재 공조에 속도를 냈습니다.

(영상취재 : 박은하, 영상편집 : 채철호)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