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전세 사기 바지사장' 전엔…보이스피싱 · 불법 도박

<앵커>

주택 수천 채를 사들여 전세 사기를 벌인 사람들이 과거에도 범죄를 저질렀던 걸로 저희 취재 결과 확인됐습니다. 이들 대부분은 보이스피싱이나 불법 도박 전과자들이었는데, 감독과 규제가 허술한 전세 사기가 이들에게 새로운 범죄 대상이 된 겁니다.

안상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사망한 빌라왕 김 모 씨가 서울 강서구 등 수도권 일대에서 주택 명의를 이전받으며 전세 사기에 본격 가담한 건 지난 2020년.

김 씨는 그전에 부동산 중개보조원을 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다른 자세한 행적은 밝혀진 바가 없습니다.

['빌라왕' 김 씨 지인 : 어떻게 하다가 지금 그 부동산을 한다고 그래갖고. 부동산을, 걔가 어떻게 부동산을 하지.]

취재 결과, 김 씨는 보이스피싱 일당의 중간책으로 활동했던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김 씨는 지난 2019년 1월 보이스피싱 범죄에 사용된 계좌를 제공해 수사를 받았습니다.

같은 해 10월에는 피해자가 자신의 계좌로 보낸 2천500만 원을 수표나 금, 달러 등으로 바꿔 보이스피싱 일당에게 전달했다가 사기 방조 혐의로 징역형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김 씨는 집행유예로 풀려났고 자신 명의의 법인을 세워 부동산 개발 업자로 둔갑했습니다.

['빌라왕' 김 씨 전세사기 피해자 : 저는 유령회사인지도 모르고, 그냥 성공하신 사업가인가 보다, 전혀 의심을 못했어요.]

일당과 함께 주택 3천400여 채의 명의를 이전받은 뒤 잠적해 '빌라의 신'으로 불린 권 모 씨도 전세 사기가 첫 범죄가 아니었습니다.

권 씨의 확인된 전과만 3개.

바다이야기 불법 게임장을 운영하다가 적발됐고, 자신을 부동산 분양업자로 속여 사기 행각을 벌이다 실형을 살았습니다.

전국의 주택 300채 이상 소유자 가운데 김 씨와 권 씨를 비롯한 상위 30명의 형사 사건 판결문을 SBS가 직접 조회한 결과, 30%가 사기나 공갈 등 전과를 갖고 있었습니다.

보이스피싱과 사기, 도박 등 민생 범죄를 저질렀던 이들이 보증금만 떠안으면 누구나 가담할 수 있는 전세 사기 범죄에 재등장해 더 많은 피해자들을 만들어낸 겁니다.

(영상취재 : 강동철, 영상편집 : 이승희, VJ : 김상혁)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