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소득 낮을수록 코로나 피해 크다…사망자 2배 차이나

<앵커>

이렇게 코로나 상황이 여전히 이어지고 있고, 누구든 코로나 위험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데, 코로나 사망자 수는 소득 수준에 따라 큰 차이가 있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소득이 낮은 취약계층에서 사망자 수가 많았다는 건데, 김덕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건강보험공단이 직장 가입자 가운데, 코로나로 의료기관을 찾은 480만 명을 소득에 따라 분류했습니다.

소득별 차이는 사망자 수에서 나타났습니다.

지난 2020년 1월부터 올 5월까지 전체 사망자는 971명이었는데, 소득 하위 10%가 199명으로 전체의 20.5%를 차지했습니다.

소득 상위 10%의 사망자, 93명의 두 배가 넘습니다.

소득 하위 20%까지 넓히면 사망자의 33.2%에 이릅니다.

소득이 낮을수록 코로나 피해가 더 컸던 셈입니다.

[김진석/서울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 아픈데도 불구하고 쉴 수 없는 사람들이 있었던 거잖아요. 감염의 측면에서도 사회적 지위가 낮은 사람들이 더 많이 노출되어 있었던 것이 틀림없고, 덜 보호를 받는 건 사실이죠.]

정부가 지난 11일부터 확진자 지원을 크게 줄이면서 저소득층은 피해가 더 클 수 있습니다.

재택치료비 지원이 사라졌고, 중소기업 노동자의 유급휴가비도 30인 미만 기업에만 주기로 했습니다.

1만 원 안팎의 진료비, 6천 원 안팎의 약값도 본인이 내야 합니다.

[김유현/두리장애인자립생활센터 소장 : 생계급여 58만 원으로 한 달을 살아보십시오. 이건 사회안전망을 위한 거라고 볼 수 없습니다. 빈곤층은 아사 직전의 환경에 처해있습니다.]

복지 지원대상을 결정하는 '기준 중위소득'을 대폭 올려 사회안전망을 넓혀야 한다는 의견이 적지 않습니다.

정부는 오늘(25일) 내년도 '기준 중위소득' 인상 폭을 결정하려고 했는데, 경기 악화를 이유로 기획재정부가 소폭 인상을 주장하며 결정이 미뤄졌습니다.

(영상취재 : 김민철, 영상편집 : 최은진, 자료제공 : 김회재 의원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