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곧 출시' 중간요금제 5만 9천 원?…"여전히 부담"

<앵커>

통신사에서 5G 가입자의 평균 데이터 이용량에 맞춘 중간요금제가 나올 예정입니다. 데이터를 너무 적게 주거나 많게 주는 요금제만 있어 지적이 이어져온 건데, 새로 나올 중간요금제가 6만 원 가까이 될 걸로 보여서 차라리 4G, LTE를 계속 쓸 수 있게 선택권을 늘려달라는 요구가 나옵니다.

정성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과기정통부 장관이 통신사 CEO들을 불러 모았습니다.

대통령 공약인 5G 중간요금제를 논의하기 위해서입니다.

[이종호/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 이용자 수요에 맞는 5G 요금제가 출시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할 시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자리에 맞춰서 업계 1위 SK텔레콤은 월 5만 9천 원짜리 요금제를 정부에 제출했습니다.

현재 5G 요금제는 데이터 이용량에 따라 둘로 나뉩니다.

싼 요금제는 월 5만 5천 원에 데이터 10기가를 주는데, 4천 원을 더 내면 24기가를 제공하는 요금제를 새로 만들겠다는 겁니다.

요금을 낮추거나 데이터를 더 주는 방안도 검토하는 걸로 보입니다.

[유영상/SK텔레콤 대표 : (중간요금제뿐 아니라) 다양한 라인업을 만들어서 고객 선택권이 강화되는 쪽으로….]

KT와 LG유플러스도 비슷한 검토를 하고 있어서, 중간요금제는 다음 달 초 시행될 걸로 보입니다.

하지만 소비자들은 여전히 부담스럽다는 반응입니다.

[신홍석/서울 강서구 : (5G 요금제는) 비싸다는 인식이 많은 거 같습니다. 5G가 속도가 항상 빠르다고 들은 적도 없고 4G라고 해서 불필요한 점도 없어서….]

4G LTE 가입자는 여전히 전체 무선통신 가입자의 2/3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통신사들은 고객이 찾아오면 비싼 5G 기종을 주로 보여주면서, 5G 가입을 유도합니다.

[안진걸/민생경제연구소장 : LTE 가입자들을 5G 서비스로 유도하고 사실상 강제하는 건 매우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그것은 국민의 선택권을 침해하는 것이고….]

지난해 통신 3사는 4조 원의 영업이익을 올린 만큼, 4G 스마트폰 공급 같은 선택권을 늘리면서 통신 요금도 낮추는 노력이 동시에 필요합니다.

(영상취재 : 박대영·김용우, 영상편집 : 김준희)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