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윤 '조문 외교' 시동…한일 관계 개선에 물꼬 트나

<앵커>

우리 정부는 아베 전 총리의 공식 추도식에 조문단을 보낼 예정입니다. 한덕수 국무총리가 조문단을 이끌고 간다면, 자연스레 일본 정부 고위급과 만남이 이뤄질 것으로 보입니다.

두 나라 사이에 켜켜이 쌓여있는 문제들을 푸는 계기가 될 수 있을지, 이 부분은 김아영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박진 외교부 장관은 주한 일본대사관에 마련된 아베 전 총리 분향소를 찾아 애도를 표하며 방일 일정을 언급했습니다.

[박진/외교부 장관 : (방일이 성사되면 아베 전 총리로부터) 여러 가지 조언을 듣고자 이렇게 생각했었습니다. 일본의 국내 사정을 감안해서 상호 편리한 시기에(방문할 것을 기대합니다.)]

일본에서 열릴 공식 추도식에는 한덕수 총리가 조문단을 이끌 예정입니다.

새 정부 출범 이후로도 진전이 없던 한일 고위급 접촉에 조문 외교로 일단 시동을 거는 겁니다.

아베 전 총리는 강제 징용 배상 판결에 수출 규제 조치를 단행하고, 사도광산의 세계문화유산 추진을 압박하는 등 과거사 문제에 특히 강경한 목소리를 내왔습니다.

참의원 선거까지 끝난 만큼 상대적으로 온건파인 기시다 총리에 대한 기대감도 나오지만, 일본 내 여론 지형을 고려하면 단기간 변화는 크지 않을 거라는 분석이 많습니다.

[진창수/세종연구소 일본연구센터장 : (기시다 총리가) 친한이라고 해도 한일 관계에 본인이 적극적으로 나서는 스타일도 아니고 구조는 똑같아서 (별로 달라질 게 없을 것입니다.)]

오히려 기시다 총리가 아베 전 총리의 숙원 사업인 헌법 개정을 띄우고 나선만큼 양국 관계에는 악재가 추가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김숙현/국가안보전략연구원 책임연구위원 : 더 중점 사항은 그것(헌법 개정)이 되겠죠. 역사문제, (강제 동원 배상) 현금화에 더해서. 그럼 (한일 관계는)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어려워져요.]

이 때문에 당장의 현안부터 관리할 필요성이 있다는 게 정부의 인식입니다.

외교부는 강제징용 배상 판결에 따른 현금화가 이뤄지기 전에 바람직한 해결방안을 도출하는 걸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아베 사망 후 실권을 쥐게 될 기시다 총리에 공간을 만들어주면서 우리 입장을 반영할 방안을 도모하겠다는 취지입니다.

(영상취재 : 박영일, 영상편집 : 박정삼)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