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물가 대책 쏟아내도 "0.1%포인트 인하"

<앵커>

새 정부 출범 이후 처음 민생 안정 대책이 발표됐습니다. 치솟는 물가부터 잡아야 한다고 본 정부는 물건에 붙는 세금을 깎아서 소비자 가격을 낮춰보겠다고 했는데, 그렇게 해도 효과는 크지 않을 것이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먼저, 조기호 기자입니다.

<기자>

서울의 한 대형 마트입니다. 국산 삼겹살은 100g에 3천 원을 넘은 지 오래고, 수입도 어느덧 1년 전 국산 삼겹살 가격과 맞먹게 뛰어올랐습니다.

[서동권/서울 양천구 : 너무 값이 올라서 수입산이 괜찮을까 싶어서 수입산을 들여다봐도 가격이 그다지 다른 것 같지 않아서 사실 장을 보기가 겁이 나는 게….]

대형마트

정부는 민생 안정 10대 대책을 발표하면서 뛰는 물가를 잡을 방안을 맨 앞머리로 올렸습니다.

돼지고기와 식용유, 밀가루 등 7가지 식재료와 커피 원두 등을 수입할 때 붙는 관세와 부가가치세를 연말까지 걷지 않기로 했습니다.

이럴 경우 돼지고기는 20%, 커피 원두는 10%까지 소비자 가격이 내려갈 것으로 정부는 기대했습니다.

또 주로 봉지나 플라스틱통에 담아 파는 김치와 된장, 고추장 같은 반찬류는 내년까지 부가가치세 10%를 면제합니다.

특히 밀가루는 정부가 500억 원을 들여서 오른 가격의 70%를 부담합니다.

정부가 직접 가격을 통제하지 않고 원가를 줄여서 소비자 가격 인하를 유도하는 것인데, 기업과 상인들이 스스로 물건값을 내릴지는 미지수입니다.

[커피 업체 사장 : (원두 가격이) 많이 인하가 되면 (커피값을) 내려야 하는데 내렸다가 또 올리기가 쉽지 않으니까….]

정부는 이번 조치로 9월 이후에 물가는 0.1%포인트 떨어질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2차 추경으로 돈이 풀려 오르는 물가를 되돌려놓는 정도입니다.

5%를 위협하는 물가가 주로 원자잿값 상승 등 외부 요인에서 비롯되고 있어서 이번 대책만으로는 물가 잡기 효과가 크지 않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영상취재 : 김민철, 영상편집 : 위원양, VJ : 정영삼·박현우)

▶ 재산세 줄이고 첫 주택 대출 늘리고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