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전작권 전환 뒤 미군 계속 주둔"…안보 불안 해소 기대

<앵커>

워싱턴에서 열린 한·미 안보협의회의에서 전시작전권을 한국이 돌려받은 뒤에도 주한미군은 계속 한반도에 주둔하는 것으로 합의했습니다. 양국 국방장관은 이런 내용의 방위지침에 서명을 했는데요. 전작권을 돌려받는 시기는 북한의 비핵화가 어떻게 진행되는가에 달렸습니다.

워싱턴 현지에서 최재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한미는 전시 작전 통제권이 전환된 뒤에도 미군을 계속 주둔시키기로 합의했습니다.

[매티스/美 국방장관 : (방위지침 합의를 통해) 한반도에서 주한미군의 지속적인 주둔을 다시 한번 확인합니다.]

전작권 전환 이후의 연합사령부, 이른바 미래 연합사 사령관은 한국군 대장이 맡기로 했습니다.

유엔군사령부도 그대로 유지됩니다.

[정경두/국방부 장관 : (방위지침 합의로) 전시 작전 통제권 전환을 안정적으로 조속히 추진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이번 방위지침 합의로 전작권 환수에 대한 일부 안보 불안도 해소될 것으로 군은 기대했습니다.

이제 관건은 전환 시기인데 결국, 북한 비핵화 조치가 관건입니다.

지난 2014년, 한미가 미사일 억지 능력 등 세 가지 전환 조건에 합의했지만, 단서 조항 '북한 비핵화'가 사실 핵심이었습니다.

실제 국방부 고위 관계자는 북한 비핵화가 결실을 맺으면 전작권 전환 시기도 앞당겨질 거라고 말했습니다.

북한의 비핵화 조치를 촉진하기 위해 공중 연합훈련인 비질런트 에이스는 유예하기로 했습니다.

내년에 예정돼있는 대규모 한미 연합 훈련은 이달 15일까지 실무 검토를 마친 후 12월 1일에 시행 여부를 최종결정할 예정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