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中 보복 장기화하면 우리 손해…뾰족한 수 없는 외교부

<앵커>

외교부 취재하는 김수영 기자 나와 있습니다. 김 기자, 이렇게 보신 것처럼 중국의 보복은 가시화되고 있는 건데 우리 정부의 대응은 답답한 것 같아요.  뭘 하고 있는 거죠?

<기자>

외교부는 중국 움직임이 우려스럽다면서도 뾰족한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습니다.

여러 경로로 중국을 설득하려 하는데 성과는 없다는 겁니다.

김장수 중국 대사를 중국 측이 만나주지도 않고, 중국 언론이 인터뷰도 갑자기 취소해버리는 상황입니다.

하지만, 중국이 이렇게 나올 때까지 외교부의 대중국 외교력, 인맥을 중시하는 중국에서 비상상황 시 대응력 부재는 외교부가 그동안 뭐했나 하는 비판을 면하기 어려워 보입니다.

<앵커>

그동안 뭐했는지 궁금하고 답답한 면이 있어요. 정 뭐하다면 눈에는 눈, 이에는 이, 강 대 강 맞대응하는 것도 방법 아닌가요?

<기자>

그렇다고 맞받아치기도 어렵습니다.

대결 구도로 갈수록 경제의존도가 높은 우리에게 손해입니다.

지난 2000년에 마늘 파동이란 게 있었잖습니까?

우리 정부가 중국산 마늘에 관세율을 올리자 중국이 우리나라의 휴대전화와 폴리에틸렌 수입을 전면 금지했는데, 결국, 우리 정부가 관세율 인상을 사실상 철회하는 굴욕을 겪었습니다.

<앵커>

단지 사드뿐만이 아니라 중국 정부가 강하게 나오는 데는 조금 더 깊은 계산도 있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요?

<기자>

권력 공백기에 사드에 대한 국내 여론이 갈리는 상황을 이용해 한미동맹의 흠집을 내려는 의도가 있는 것 같습니다.

시간을 벌어서 차기 정부가 들어서면 이 문제를 원점에서 재검토하려는 속셈도 있어 보입니다.

이 때문에 우리 정부는 중국이 우리를 길들이려 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타협하지 않고 사드를 조기에 배치해야 한다는 입장을 갖고 있습니다.

<앵커>

우리 입장이 바뀌지 않는 이상 한중 관계는 돌이킬 수 없게 되는 건가요?

<기자>

사드 배치는 효과를 둘러싼 논란에도 불구하고 우리 안보를 위한 조치입니다.

중국에 대한 우리 국민감정도 안 좋게 변하고 있습니다.

중국도 한국과의 관계를 끝내려는 것이 아닌 만큼 결국엔 출구전략을 모색할 겁니다.

우리가 이런 틈을 잘 노려서 중국의 체면을 살리면서도 안보를 지키는 방안을 모색해야 하겠습니다. 

<앵커>

결국은 외교력이네요. 잘 들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