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기부'에서 '강제'로…거액 내고 숨죽인 대기업들

<앵커>

이어서 경제부 산업팀장 정호선 기자와 함께 얘기를 나눠보도록 하겠습니다. 정 기자. (네.) 권력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는 기업들이 주로 타겟이 됐다는 얘기인데, 기업들은 어떻게 해명하고 있습니까?

<기자>

일단 처음에는 강요는 없었다, 문화체육 육성을 위해서 기부한 것이다, 이렇게 이야기를 했었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일제히 우리도 피해자다, 그러니까 돈도 내고, 수사도 받고, 여론의 질타도 받고.

상당히 억울하다, 이런 입장으로 바뀌었습니다.

하지만 앞서서 부영의 사례에서 봤듯이 이윤을 추구하는 대기업이 아무런 이유 없이 이런 거액을 냈다.

쉽게 납득하기 어려운, 그런 상황입니다.

<앵커>

그렇다면 결국 기업들 역시 뭔가 대가를 바라고 협조했다. 이렇게 볼 수가 있겠네요?

<기자>

대표적으로 의혹선상에 놓인 기업, SK, CJ, 롯데를 보면요, 공통적으로 당시 총수가 구속이 되어있거나 검찰수사를 앞둔, 그런 상황이었습니다.

그러니까 적극 협조한 결과로 총수의 사면이나 석방, 불구속.

이런 결과를 얻어낸 게 아니냐, 그런 의심을 받고 있는 겁니다.

실제로 지난해 두 재단에 돈을 낸 네 곳 중의 한 곳이 적자 상태.

그러니까, 법인세를 한 푼도 못 냈습니다.

세금을 하나도 못 냈는데 거액을 기부했다는 것은 일종의 '대가성', '보험성', 그런 쪽이 아니었나.

그런 추론이 가능한 대목입니다.

<앵커>

기업들도 항변은 하겠습니다만, 이런 걸 바로 정경유착이라고 하지 않습니까? 반드시 끊어야 할 악순환의 고리인데, 이번 사태가 이런 걸 끊는 계기가 될 수 있을까요?

<기자>

저도 대기업을 취재하다 보면 "살아있는 권력에 어떻게 대항하느냐, 우리도 참 힘들다." 그런 항변들을 많이 하곤 합니다.

하지만 강탈을 당한 것도 아니고요, 이런 대기업이 거액의 기부를 하면서 이사회 같은 정상적인 절차를 거친 경우가 거의 없었습니다.

그러니까 주주의 입장에서 보면 배임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겠고요, 때문에 권력형 비리의 희생양으로 보기보다는 대통령의 직무 행위를 뇌물로 산 공범으로 봐야 된다, 그런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는 겁니다.

대기업을 자금조달의 창구쯤으로 여기는 정권, 그리고 대가를 바라고 협조하는 기업.

이런 관행이 이번 기회에 모두 사라지길 기대해 봅니다.  

▶ 가능성 커진 대통령 조사…'수사 방법'에 초점
▶ [단독] "인사만 했는데"…논문에 이름 올린 최순실
▶ '정유라 지원' 흔적 지우나?…말 다시 판 삼성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