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진짜 친한 친구라면…" 연대보증 늪에 빠진 20대

<앵커>

돈을 빌린 사람이 갚지 못하면 대신 갚아야 하는 게 연대보증인데요, 은행에선 사라졌는데 금리가 높은 대부업계는 여전히 연재보증을 요구합니다. 문제는 20대 청년들이 별 생각 없이 보증을 섰다가 낭패를 당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이호건 기자입니다.

<기자>

20대는 경제 능력이 부족한데도 친구가 부탁하면 쉽게 연대보증에 동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유인배/20대 : 생각은 해볼 것 같아요. 진짜 필요한 거라면 얘기를 들어보고 해줄 수 있으니까.]

[남지섭/20대 : 최대한 고민은 많이 되겠지만, 진짜 친한 친구라면 도와줄 것 같아요.]

실제로 대부업체의 연대보증 대출 8만 5천 건 가운데 20대를 보증인으로 세운 경우가 2만3천 건, 전체의 27%에 달했습니다.

금액으로 따지면 무려 795억 원이나 됩니다.

대부업체들은 이렇게 20대들을 마구잡이로 보증인으로 세우면서도 사전에 연대보증의 위험성을 제대로 알리지 않았습니다.

또 별다른 소득증명 없이 카드사용 내역만 있으면 보증인으로 세웠습니다.

이에 따라 연대보증 때문에 빚쟁이로 전락하는 20대가 크게 늘고 있습니다.

[임민택/금융감독원 국장 : (20대 청년층은) 채무상환 능력이 부족함에도 쉽게 연대보증에 동의하고 있으며 대부업자는 연대보증인에 대한 소득확인을 철저히 해야 함에도 이를 형식적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금감원은 무분별한 청년층 연대보증을 막기 위해 앞으로는 대부업체가 보증 위험성을 고지한 내용을 반드시 녹취하게 하고, 보증인으로부터 충분히 안내받았다는 자필 서명을 받도록 했습니다.

또, 20대 보증인의 경우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과 급여통장 사본 등으로 소득증명을 하도록 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