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차? 살 필요 있나요'…진화하는 공유 서비스

<앵커>

제품을 소유하지 않고 여러 명이 사용하는 공유경제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과 결합하면서 점점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국내 차량 공유 서비스의 경우 이용자 수만 400만 명에 이릅니다.

한주한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퇴근길에 나선 정혜나 씨가 애플리케이션에 목적지를 입력합니다.

그러자 근처 다른 직장에서 같은 방향으로 퇴근하는 차량 소유자에게 연락이 가고 두 사람은 함께 차를 이용하게 됩니다.

앱으로 '카풀'을 연결해주는 차량 공유 서비스인데, 탑승자는 택시보다 2, 30% 싼 비용을 내고, 운전자는 그만큼 수익을 얻습니다.

단, 법이 허용한 출퇴근 시간에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정혜나/'카풀' 차량 공유 서비스 이용자 : 비용이 좀 더 저렴했던 점, 그리고 차가 많이 깨끗해서 마음에 들었고요.]

공항을 오갈 때 이용할 수 있는 차량 공유 서비스도 최근 선보였습니다.

기사 딸린 렌터카를 비슷한 시간과 지역의 탑승객들이 함께 타고 가며 비용을 낮추는 방식입니다.

[진선희/공항 렌터카 차량 공유 서비스 이용자 : 집 앞에 와서 바로 타고 공항 게이트까지 도착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 편리했고 요금에 대한 부담이 덜한 것도 좋았고요.]

한 차량 공유 업체는 월 20만 원에 신차를 대여해 주면서 사용하지 않을 땐 남과 공유하도록 하는 서비스를 준비 중입니다.

하지만 앱으로 연결해 주다 보니 이용자 검증 등 안전 문제는 최우선 해결 과제입니다.

또한, 차량 공유 서비스인 우버가 국내 택시 업계의 거센 반발과 불법 논란으로 국내에서 퇴출당한 것처럼, 동종 업체와의 이해관계와 규제를 어떻게 해소하느냐가 새로운 공유 서비스의 성공 관건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