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어렵다던 김해공항 확장…어떻게 달라지나?

<앵커>

영남권 신공항의 최적 안으로 결정된 김해공항의 확장 계획은 지난 2009년에도 여러 형태로 검토됐다 무산된 바 있습니다. 당시에는 확장이 어렵다고 했는데, 지금은 어떻게 가능하다는 건지 심우섭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2009년 정부는 김해공항을 확장하는 방안으로 네 가지를 검토했습니다.

핵심 내용은 면적을 넓히지 않은 채 기존 활주로와 교차하는 형태로 새 활주로를 추가 건설하는 방안이었습니다.

하지만 공사기간 동안 공항을 폐쇄해야 하고, 막대한 공사비에 비해 여객수요가 별로 없을 것이란 분석이 나오면서 무산됐습니다.

그런데 사정이 달라졌습니다.

저가항공의 취항이 늘고 중국 일본 관광객이 크게 증가한 겁니다.

기존 활주로 옆 약 3백만㎡ 면적의 부지를 매입해 추가 활주로와 청사를 지어도 비용과 수요 측면에서 타당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 겁니다.

[손명수/국토교통부 공항항행정책관 : 충분한 길이의 활주로를 새로 건설하면 북쪽 산악지역 문제, 안전성 문제가 해소되고 새로 신설되는 활주로와 기존의 활주로 사이에 큰 터미널을 새로 지으면 (탑승객) 용량 문제도 해 결되고…]

공사 기간에도 기존 공항 시설을 그대로 운영할 수 있다는 점도 그때와 크게 달라진 점입니다.

확장계획의 핵심은 공군과 함께 사용하고 있는 현재 활주로 왼쪽으로 40도를 벌려 3.2km의 새 활주로를 만드는 겁니다.

국제선 터미널은 새로 짓고 현재 터미널은 국내선 전용으로 쓰입니다.

국토부는 김해 신공항과 연결되는 철도와 도로도 신설하는 등 접근성을 높이는 방안도 함께 마련할 예정입니다.

(영상취재 : 이용한, 영상편집 : 윤선영, CG : 서승현) 

▶ "김해공항 확장이 신공항 건설…성공에 최선"
▶ 소음 해결과 토지 보상까지…성공의 열쇠는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