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생계 막막해진 北 무역상·근로자…날카로운 반응

<앵커>

국제사회의 북한 옥죄기가 시작된 상황에서 북한과 중국 무역의 관문인 단둥에서는 대북 송금이 차단됐습니다. 당장 단둥에서 외화벌이하던 북한 무역상과 근로자들에게 비상이 걸렸습니다.

단둥 현지에서 우상욱 특파원입니다.

<기자>

단둥의 금융기관이 밀집한 지역입니다.

북한에 송금하러 간간이 나타나던 북한 무역상들 모습이 완전히 사라졌습니다.

달러든 위안화든, 대북송금을 중단하라는, 상부 지시가 내려왔기 때문입니다.

[中은행 송금담당자 : (단둥 은행) 어느 곳에서도 송금할 수 없어요. 국가에서 은행들에 명령을 내렸는데… 지금은 직접 갖고 들어가요.]

남은 방법은 화물에 뭉칫돈을 숨겨 들어가는 거지만 이조차도 쉽지 않습니다.

북한 화물에 대한 세관 검사가 대폭 강화됐기 때문입니다.

[대북 무역상 : (물품 검사가 이전보다 엄해졌다면서요?) 엄하죠. 엄해요. 북한 반입 금지 물품이 있으면 위법이니까.]

생계가 막막해진 북한 무역상과 근로자들은, 극도로 신경이 날카로워졌습니다.

[북한 무역상 :  여기 찍지 말라. 이쪽에서. 매 맞으면 잘못돼. 매 맞으면 본전도 못 찾는다고.]

안보리 제재안 통과 이후 상황이 더 안 좋아질 거란 소문은 이미 북한 내부에까지 번졌습니다.

[북한 무역상 : 세관에 대해서도 여기서 못 한다고 해서 조선에 소문이 굉장했어요. 무역이 정상적으로 못 돌아간다 해서.]

다만 안보리 제재안에서 대북 민생 무역은 예외로 삼기로 한 대목이 변수가 될 수 있다는 반응입니다.

[북한 무역상 : 군대들과 39호실 등이 당 자금 마련해서 고국에 들어가는 걸로 생각해서 그걸 자르겠다, 인민들이 쓰는 것은 제재 안 하겠다 했으니까.]

대북 교역 전면 중단으로 갈 지, 아니면 일부는 민생 무역으로 간주해 명맥은 유지해 나갈 지, 그 열쇠는 전적으로 중국 당국이 쥐고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