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교수 절반 "연구 부정 경험"…부정행위 만연

<앵커>

전체 대학교수 가운데 절반 가까이가 연구 부정을 경험하거나 목격했다는 설문 결과가 나왔습니다.

만연해 있는 부정행위를 근절시킬 대책을 김광현 기자가 고민해봤습니다.

<기자>

한 대학에서 논문 표절 여부를 판정하는 프로그램을 실행시켜봤습니다.

표절로 의심되는 부분이 다른 색깔로 화면에 나타납니다.

이 대학은 이렇게 논문과 과제물의 표절 여부를 잡아내기 위해 별도의 프로그램을 운용하면서 사용료로 한 해 3천500만 원을 내고 있습니다.

하지만, 표절 여부를 100% 잡아내기는 어렵다고 말합니다.

[황정욱/한양대 교수 : 데이터 베이스에 들어있지 않은 경우에는 이런 프로그램도 밝혀낼 수 없는 단점은 있습니다.]

한국연구재단 조사 결과 교수와 석·박사 연구원 5명 중 1명이 연구 부정행위를 경험하거나 목격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교수는 응답자의 절반 가까이 부정행위를 경험했다고 답했습니다.

부정행위는 표절이 가장 많았고 부당한 논문저자 표시와 자료 중복 게재 순으로 조사됐습니다.

[대학생 : (논문을) 학생들이 거의 다 쓰고 교수님이 제1저자로 이름을 올리시거나.]  

만연해 있는 연구부정을 근절하기 위해선 선진국처럼 국가 차원에서 연구윤리 강령을 만들고 지도교수에게도 책임을 물을 필요가 있습니다.

[한상권/학술단체협의회 대표 : 가장 잘 아는 지도교수가 책임을 지는 연대책임제도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무엇보다 논문 표절이 범죄라는 사회적 인식확산이 중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영상취재 : 김현상, 영상편집 : 박춘배)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