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국책사업인 대운하, 민간 신분으로 주도 '의혹'

<8뉴스>

<앵커>

한편 정부의 대운하 사업에 사설 연구소가 깊숙이 개입해 있다는 의혹이 또 제기됐습니다. 관련 공무원들이 이 민간연구소를 수시로 드나들고, 정부도 국책 연구기관이 아닌 이 연구소의 보고서를 인용해 운하 계획을 세우고 있습니다.

김태훈 기자입니다.

<기자>

서울 잠실에 있는 한반도 대운하 연구회.

서울시 부시장과 인수위 대운하 TF팀장을 지낸 장석효 씨가 지난 2006년부터 이끌어온 순수 민간 연구소입니다.

하지만 장 씨가 인수위 팀장을 마친 뒤에도 이 연구소에 국토해양부와 국토연구원, 교통연구원 등 대운하 관련 기관의 직원들이 수시로 출입한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대운하 관련 기관 직원 : 지난번에 한번 오라고 해서 갔을 때는 배 타고 다니면 50시간이 걸린다, 건설하는데 몇십조가 든다, 그런 문제 제기들이 여러 분야에서 나왔잖아요. 거기에 대해서 검토를 해보자는 거죠.]

이에 대해 장 씨는 공무원들이 스스로 연구소에 찾아와 대운하에 관한 자문을 요청한 것이라고 해명했습니다.

[장석효/한반도 대운하 연구회 회장 : 그 사람들이 우리 연구한 거에 대해서 궁금한 거 있으면 조금 알려고 오고 그랬었는데...]

그러나 해명과 달리 이 연구소의 기능이 단순히 자문 단계를 넘는 것 같은 징후는 여러 곳에서 나타납니다.

국토해양부가 올 2월 만든 신임장관 업무참고 자료입니다.

토지 보상비를 1조 6천억 원으로 책정했습니다.

대운하연구회가 지난해 11월 발간한 보고서 내용과 똑같습니다.

국토부는 별다른 참고자료가 없어 대운하연구회 보고서를 인용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참고자료가 없다는 국토부의 설명과 달리 산하기관인 수자원공사와 국토연구원 등은 보상비 규모를 1조 8천 7백 92억 원으로 책정한 보고서를 이미 낸 적이 있습니다.

장 씨는 인수위원으로 내정된 직후인 지난해 말 대형 건설사 사장들을 만나 대운하 사업 참여를 독려한 적도 있어, 민간 신분으로 바뀐 뒤에도 계속 이 사업을 주도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의혹이 일고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