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관행이냐 부정이냐' 풀리지 않는 의혹들

<8뉴스>

<앵커>

김 부총리는 또 그동안 제기된 의혹에 대해 해명자료를 냈습니다. 하지만 거듭된 해명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풀리지 않는 의문점들이 있습니다.

권태훈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기자>

김 부총리와 관련된 의혹은 크게 3가지.

먼저 논란의 발단이 됐던 논문 표절입니다.

지난 88년 6월 한국 행정학회보에 발표한 논문이 이미 2월에 발표된 제자 신 모 씨의 박사학위 논문을 각주없이 표절했다는 것입니다.

김 부총리는 이에 대해 신 씨가 오히려 자신의 논문을 표절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신 씨의 박사학위 논문은 이미 87년 9월에 제출됐고, 기초 데이터도 신 씨가 만든 것이란 걸 김 부총리도 인정한 만큼 의혹은 여전합니다.

두 번째는 논문 중복 게재.

김 부총리가 같은 내용을 제목이나 일부 내용만 바꿔 다시 발표한 것은 확인된 것만 대략 7건.

김 부총리는 이미 발표한 논문을 다시 싣는 것은 당시 관행이고, 이를 문제 삼는다면 교수출신은 누구도 교육부총리가 될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논문 이중 게재는 도가 지나쳤고, 교육부총리는 어느 자리보다 도덕성이 강조되는 만큼 설득력이 약하다는 게 학계의 일반적인 평가입니다.

마지막으로 연구비 이중 수령.

별도의 연구비가 지원된 98년 학술진흥재단, 99년 서울시 의회 용역 보고서를 BK21 연구실적으로 보고한 부분입니다.

김 부총리는 실무자의 실수였다고 해명했고, 교육부도 외부 용역은 얼마든지 BK21 실적에 포함시킬 수 있다고 해명했습니다.

그러나 두 논문 모두 지난 99년 BK 사업자로 선정되기 이전에 작성된 것이란 점은 오늘(30일) 해명으로도 해소되지 않는 의혹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