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DJ 납치 사건, "일본과 정치적 해결로 매듭"

공개된 외교문서에서 드러나

<8뉴스>

<앵커>

지난 1973년 '김대중 납치 사건'과 관련된 당시의 외교문서가 공개됐습니다. 박정희 정권은 진상 규명보다는 일본과의 정치적인 타결을 통해 사건을 덮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정성엽 기자입니다.

<기자>

1973년 8월 일본 도쿄의 한 호텔에서 발생했던 김대중 납치 사건 직후 일본 정부는 박정희 정권에 강경하게 대응했습니다.

일본측은 자체 수사결과를 토대로, 주일 한국대사관 소속의 중앙정보부 김동운 1등 서기관을 납치범 중의 하나로 지목했습니다.

이렇게 일본 정부의 진상규명 압박과 한-일 관계의 긴장감이 고조되자, 우리 정부는 조용한 정치적 타결을 시도했습니다.

10월26일 김대중씨의 연금을 해제하고, 11월1일에는 사건과 무관하다고 버텼던 김동운 중정 서기관을 해직시켰습니다.

이런 타협안을 내놓은 직후 박정희 대통령은 다나까 일본 총리에게 "이 사건으로 양국의 선린 우호관계에 균열이 초래돼서는 안된다"는 친서를 보냈습니다.

다음날인 11월2일 김종필 총리는 다나까 총리를 직접 찾아 "김대중 사건을 잊어달라"고 요구했습니다.

이에 다나까 총리도 "명분이 좋아졌다"며 이걸로 끝을 맺자"고 화답했습니다.

회담이 끝난 뒤 김 총리는 "한국 정부의 개입은 없었다"고 공식 발표했습니다.

그러나 또 다른 공개문서인 당시 UN 위원회 보고서는 "한국 정보기관이 김대중씨를 납치했을 지 모른다"며 의혹을 제기했습니다.

또 정부당국에 확인되지는 않았지만 98년 공개된 국정원 비밀문건에는 '대통령 보고필'이라는 내용이 있어 박 대통령의 개입을 암시하는 대목도 있습니다.

특히 중앙정보부의 개입여부를 풀 수 있는 김동운 서기관에 대한 수사가 끝내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이런 남은 의문점은 오는 3월 국정원 과거사 진실규명위원회 조사결과 발표때 추가로 발표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