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아베, 침략·사죄 언급했지만…어정쩡한 담화

<앵커>

아베 일본 총리가 전후 70년에 즈음한 담화를 발표했습니다. 아베 총리는 과거 담화를 언급하며 사죄의 뜻을 반복해서 표현해 왔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일본이 식민지배와 침략행위를 했다는 건 분명하게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먼저, 도쿄에서 최선호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기자>

아베 일본 총리는 전후 70년, 아베 담화에서 역대 담화를 이어가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아베 신조/일본 총리 : 통절한 반성과 마음으로부터의 사죄를 표명해 왔습니다. 역대내각의 입장에는 동요가 없습니다.]

예상대로, 역대 담화를 설명하면서 사죄 표현을 한 차례 언급했습니다.

함께 발표된 영문 번역본에도 무라야마 담화와 마찬가지로 '마음으로부터의 사죄' 표현을 썼습니다.

한글 번역본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침략 표현도 언급됐지만, 일본의 행위로 특정하지 않았습니다.

일본의 잘못된 전쟁임을 명시했던 무라야마 담화와 달리, 세계정세 속에서 진로를 잘못 찾았다며 부전의 맹세로 이어갔습니다.

[침략, 전쟁. 국제분쟁 해결 수단으로 앞으로 결코 무력 위협이나 행동을 하지 않겠습니다.]

위안부 관련 국제사회 비판을 의식한 듯 여성 인권에 공헌하겠다는 다짐도 강조했습니다.

식민지배와 침략, 사죄와 반성 등 무라야마 담화 핵심 표현은 일단 담화 초반에 모두 언급은 됐습니다.

그러나 약 4천 자, 무라야마 담화 3배 분량에 이르는 아베 담화 대부분은, 국제사회에 대한 일본의 공헌과 다짐, 일본의 역할 확대를 뜻하는 적극적 평화주의에 대한 강조로 채워졌습니다.

(영상취재 : 한철민)   

▶ 주어 생략한 '과거형 사과'…교묘한 아베 화법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