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취재파일] 평창에 줄 IOC의 당근과 채찍은?

[취재파일] 평창에 줄 IOC의 당근과 채찍은?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가 IOC(국제올림픽위원회)의 일부 종목(썰매 종목) 외국 분산 개최 제안에 대해 분명한 반대 입장을 나타냈습니다. 이제 공은 다시 IOC로 넘어간 상태입니다. 오랫동안 준비해온 야심찬 올림픽 개혁안, ‘어젠다 2020’을 통과시킨 토마스 바흐 IOC 위원장이 이대로 포기할 것인가?

아니면 어떤 형태로든 평창조직위를 압박할 것인가? 국제 스포츠 전문가들은 후자에 더 무게를 두고 있습니다. IOC가 ‘당근’과 ‘채찍’이란 두 가지 무기로 평창조직위에 ‘분산 개최’ 수용을 다시 요구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입니다. IOC가 구사할 것으로 보이는 전략을 ‘당근’과 ‘채찍’으로 나눠 살펴볼까 합니다.    

● IOC의 ‘당근’ 정책

1. 썰매 경기장 건설비 보상
강원도 평창 알펜시아 내에 조성 중인 썰매 종목 경기장(슬라이딩센터)은 지난 3월에 착공됐습니다. 건설비는 모두 1천228억원으로 현재 공정률은 12%, 설계까지 포함하면 25%입니다. 지난 11월말까지 270억원이 들어갔습니다. 만약 평창조직위가 분산 개최를 받아들일 경우 산림복구비 150억원, 위약금 190억원 등 총 사업비의 절반에 이르는 610억원의 손해가 납니다. 이 비용을 IOC가 부담하겠다고 제안할 수 있습니다. 

2. IOC 지원금 확대
국제올림픽위원회는 올림픽 개최국에 보조금을 지원해 왔습니다. IOC는 방송중계권료와  ‘TOP스폰서’ 에서 얻는 수익중의 일부를 개최국에 배분합니다. 지난 7월초 토마스 바흐 위원장은 평창을 방문해 8억5천만달러를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당초 IOC가 계획했던 6억4천만달러보다 2억1천만달러 늘어난 금액입니다. 소치 동계올림픽의 경우 7억5천만달러를 받았습니다. IOC는 “평창이 분산 개최를 수용하면 이보다 더 줄 수 있다”고 제의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8리]IOC/분산
● IOC의 ‘채찍’ 정책

1. 올림픽 준비 차질 질책
 평창 동계올림픽 준비에 있어 가장 미흡한 점은 경기장 공사 지연과 스폰서 계약 부진입니다. 6개 신축 경기장의 전체 공정률은 10%가 채 되지 않습니다. 스폰서와의 계약도 당초 목표로 했던 8천7백억원의 30%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습니다. 특히 우려되는 것은 강원도 정선에 건설 중인 스키 활강 경기장입니다.

가리왕산 삼림 훼손 논란으로 착공이 늦어져 2016년 2월 월드컵 활강 대회까지 코스가 완공될지 미지수입니다. 평창조직위 주변에서는 ‘초치기 공사’를 해도 될까 말까한 상황이라고 합니다. IOC가 이 점을 집중적으로 캐묻고 따지고 질책하면 평창조직위로서는 ‘미안하다, 양해를 바란다’는 말 외에 달리 할 말이 없어 곤욕을 치를 것이란 전망입니다.   

2. 유치 당시 약속 위반 지적
 2011년 7월 동계올림픽 유치 당시 평창조직위는 IOC에 많은 약속을 했습니다. 그 가운데 하나가 경기장 사후 활용 방안입니다. 당시 문서를 보면 스피드스케이팅 경기장은 사후 워터파크로 전환되고 아이스하키1 경기장은 원주로 이전하게 돼 있습니다. 그런데 현재 계획은 사실상 두 곳 모두 철거로 돼 있습니다.

또 현재 논란의 핵심인 썰매 경기장도 사후 활용 방안이 마땅치 않습니다. 계획서에는 국가대표 훈련장, 외국선수 전지훈련장, 국내외 대회 개최장소로 이용하고 4계절 프로그램을 완비해 국민이 여가를 즐기는 테마형 시설로 활용된다고 돼 있지만 현실성이 떨어집니다. 연간 100억원이나 되는 운영비를 부담할 주체도 아직 정해지지 않았습니다.

또 하나의 고민은 세금 문제입니다. 올림픽 개최국은 국제대회 행사를 치를 경우 국제관례에 따라 IOC, 선수, 심판에 대해 법인세, 부가세 등 조세를 감면해왔습니다. 우리 정부는 2011년 2월 강원도 평창 알펜시아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국제올림픽위원회(IOC) 프레젠테이션에서 올림픽 특별법을 제정하는 등 재정 및 법적 지원과 세관, 출입국 절차에 대한 정부 보증을 약속했습니다.

또 세법 개정을 통해 IOC 지불금과 올림픽 관련 장비에 대해 면세 혜택을 주고 총기와 의료 장비 등에 대해 사전반입허가제를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런데 현재 기획재정부가 조세 감면을 위한 법령 개정에 난색을 표시해 자칫 최대 1600억원이나 되는 세금폭탄이 떨어질 수도 있습니다. IOC가 약속 위반을 물고 늘어질 경우 평창조직위로서는 뾰족한 해결책이 없는 상황입니다.

 IOC에서 평창 동계올림픽 준비 상황을 총 점검하고 있는 구닐라 린드베리 평창 동계올림픽 조정위원장은 이번 주 안에 썰매 종목 외국 분산 개최 후보지 12곳을 평창 조직위에 보낼 예정입니다. 그리고 다음달 15일-16일 이틀 동안 평창을 방문해 ‘프로젝트 리뷰’ 행사에 참석합니다. IOC가 마련한 ‘당근’과 ‘채찍’이 과연 무엇인지 이때쯤 윤곽을 드러낼 전망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