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김경수, 드루킹에 URL 발송 확인… 경찰 '거짓말' 들통

김경수, 드루킹에 URL 발송 확인… 경찰 '거짓말' 들통
경찰이 더불어민주당 당원 김 모(48, 필명 '드루킹') 씨의 포털 댓글 여론조작 사건과 관련해 결과적으로 언론에 거짓말을 한 셈이 되면서 경찰 수사에 대한 신뢰가 근본적으로 흔들리는 상황이 됐습니다.

이주민 서울지방경찰청장은 지난 16일 기자간담회 당시 민주당 김경수 의원의 사건 연루 여부에 관한 질문에 답하는 과정에서, 김씨가 김 의원에게 대부분 일방적으로 메시지를 보냈고 김 의원은 거의 읽지조차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김 의원이 드루킹에게 매우 드물게 '고맙다'는 의례적 인사 메시지를 보낸 적은 있다고 이 서울청장은 말했습니다.

그러나 서울경찰청은 19일 '김경수 의원도 드루킹에게 기사 인터넷 주소(URL)를 보냈다'는 언론보도가 나오자 "2016년 11월부터 올 3월까지 김경수 의원이 드루킹에게 14개의 텔레그램 메시지를 보냈다"고 확인했습니다.

경찰은 "14건 중 10건이 URL"이라며 "이 사항은 수사 보안상 공개하지 않았다"고 해명했습니다.

이주민 서울청장은 "기자간담회 시점까지는 이같은 사항을 보고받지 못했다"고 말했습니다.

이날 경찰이 공개한 URL 10건은 국정농단 사태가 한창이던 2016년 11월25일부터 19대 대선 이후인 2017년 10월2일까지 언론보도입니다.

이 가운데 2건은 현재 삭제 등 이유로 열리지 않고, 나머지 8건은 기사에 따라 댓글이 0개부터 많게는 3천500여개에 이릅니다.

10건 중 2건을 제외하고 모두 포털사이트 네이버에 링크돼 있습니다.

링크 9건은 대선 전 문재인 후보 인터뷰와 동정, 토론회 보도, 선거캠프의 현안 대응, 대선 후 내각 인사 등이며 1건은 김경수 의원 인터뷰입니다.

기자간담회 시점이 피의자들로부터 압수한 휴대전화 분석 초기 단계였던 점을 고려하더라도, 결과적으로는 이 서울청장을 비롯한 수사 지휘부 설명이 김 의원을 감싸주는 셈이 됐다는 의심을 벗기 어려워졌습니다.

2012년 18대 대선을 앞두고 국가정보원 댓글사건 수사 과정에서 경찰이 섣불리 중간수사 결과를 발표했다가 큰 홍역을 치른 전례가 있어 이번에는 불필요한 오해를 살 일은 하지 않으리라는 관측이 많았습니다.

그러나 김씨와 김 의원의 메신저 대화 양상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김 의원의 '수동성'만 부각하고, 김 의원이 김씨에게 URL을 보낸 것과 같은 '능동적' 행위는 일언반구도 하지 않은 점은 오해를 사기에 충분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주민 서울청장은 오는 6월 말 정년 퇴임하는 이철성 경찰청장을 이을 차기 경찰 총수 후보 가운데 유력 주자로 꼽히는 인물입니다.

경찰청장 임명권자는 대통령이며, 경찰청장 내정자는 국회 인사청문회를 거치게 돼 있습니다.

이 서울청장은 김 의원이 URL을 보냈다는 내용을 보고받지 못했다고 해명했지만, '정부·여당 눈치보기 수사'라는 야권의 비판을 피하기 어렵게 됐습니다.

보고를 못 받았다는 해명이 사실이라 해도 큰 문제인데, 국민적 관심사를 설명하는 공식석상에서 발언의 최종 책임을 지는 지방경찰청장이 수사라인의 보좌를 제대로 받지 못할 만큼 조직 체계와 기강이 엉망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김 의원이 '드루킹' 김씨와 소통 과정에서 어느 정도는 능동적 모습을 보인 정황이 드러난 이상 향후 수사에서 김 의원 소환은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아울러 야권의 특별검사 요구는 더욱 거세질 수밖에 없게 됐는데, 이번 사건 수사에서 가장 관심도가 큰 부분을 놓고 경찰이 거짓말을 한 꼴이 된 만큼 경찰 수사를 믿기 힘들다는 여론이 비등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