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총탄 맞자마자 고꾸라졌다는데"…유족들, 도비탄 총상에 의문

"총탄 맞자마자 고꾸라졌다는데"…유족들, 도비탄 총상에 의문
진지 공사를 마치고 도보로 부대 복귀 중이던 육군 병사가 갑자기 날아든 총탄에 머리를 맞아 숨진 사건은 여러 면에서 의문투성입니다.

군 사격 훈련과 이동 중인 부대 관리에 대한 안전 불감증도 이 사고를 계기로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

이 사건을 수사 중인 육군 수사기관은 총탄이 발사된 지점과 총탄의 종류 등을 분석 중이라고 오늘(27일) 밝혔습니다.

특히 총탄이 인근 사격장에서 날아든 '도비탄'인 것으로 보고 사격 훈련 안전 수칙 준수 여부도 조사 중입니다.

도비탄은 총에서 발사된 탄이 딱딱한 물체에 부딪혀 튕겨난 것을 가리킵니다.

사격장 주변에 있던 민간인이나 군인이 도비탄에 맞아 숨지는 것은 매우 이례적이어서 도비탄으로 인한 총상이라는 군 당국의 설명에 유족들은 의문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이 사건은 어제(26일) 오후 4시 10분 철원군 동송읍 금학산 일대 모 부대 인근에서 발생했습니다.

사고 직후 A(22) 일병은 군 병원으로 옮겼으나 치료 중 1시간여 만인 오후 5시 22분 숨졌습니다.

황당한 사고에 아들을 잃은 A 일병의 유족들은 할 말을 잃은 채 오열했습니다.

한 유족은 "우연이라고 하기에는 너무도 지독한 사고라 할 말조차 잃었다"며 "총탄을 맞자마자 고꾸라졌다는데 도비탄이라는 군 당국의 설명을 어떻게 이해하고 믿을 수 있겠는가"라고 반문했습니다.

갑자기 날아든 총탄에 머리를 맞고 숨진 A 일병은 부대 진지 공사를 마치고 동료 병사 20여 명과 함께 걸어서 부대로 복귀 중이었습니다.

하의는 전투복, 상의는 활동복 차림의 전형적인 작업 복장이었습니다.

당시 A 일병 등 부대원들이 인솔자와 함께 이동한 통로는 평소에도 이용하던 길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러나 이 길은 인근 부대 사격장과 인접해 있어서 사격 훈련이 있을 때는 이동이 통제됩니다.

문제는 사건 당일 인근 부대 사격장에서는 사격 훈련이 진행 중이었지만, A 일병의 부대원들은 아무런 통제 없이 평소 다니는 이 길을 이용해 부대로 복귀 중이었다는 점입니다.

A 일병 등 부대원이 이동한 길은 사격장에서 바라봤을 때 전방 왼쪽 측면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사격장과 A 일병이 총탄을 맞고 쓰러진 거리는 대략 400여m라고 군 측은 설명했습니다.

K-2 소총의 유효 사거리가 460m인 점을 고려하면 위험한 구간인 셈입니다.

그런데도 A 일병과 부대원은 아무런 통제 없이 인솔자와 함께 이 길을 이용해 부대로 이동 중이었습니다.

통상 사격 훈련이 예정된 부대는 미리 인접 부대 등에 이를 통보해야 합니다.

사격 중에는 이동로 양쪽에 경계병을 배치해 이동을 원천 차단해야 합니다.

또 사격장 주변을 이동하는 부대는 사격 훈련 징후가 포착되면 이동을 중지해야 합니다.

군 수사 당국은 사격 훈련 부대와 사격장 관리 부대가 A 일병 소속 부대 등 인접 부대에 사격을 통보했는지, A 일병을 인솔한 부대는 이를 통보받고도 이동을 통제하지 않은 것인지 등 안전 수칙 준수 여부 등을 집중 조사 중입니다.

유족들은 "사건 당일 사격한 부대, 사격장 관리 부대, 사격장 주변을 이동한 부대 등 3개 부대 모두 안전 수칙이 전혀 작동하지 않았다는 점이 너무나 큰 충격"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와 함께 일각에서는 최근 일촉즉발의 대북 상황을 인식한 듯 북한 측의 소행이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A 일병이 사망한 곳과 사격 훈련 부대는 민간인통제선 이남인 점으로 볼 때 가능성은 매우 낮습니다.

부대 관계자는 "현재까지 대북 용의점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며 "사격 훈련 안전 수칙 준수 여부 등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감찰·헌병·인사 등 5개 부서가 참여한 합동 조사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