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커피, 25년 만에 드디어 발암물질 오명 벗는다

<앵커>

여러분 혹시 커피가 발암 가능 물질로 분류돼 있다는 사실 아시는지요? 방광암을 일으킬 가능성 때문이라고 하는데, 세계보건기구가 25년 만에 커피를 발암 가능 물질에서 제외할 걸로 보입니다.

조동찬 의학전문기자입니다.

<기자>

한 사람이 1년에 원두커피 2백 30잔을 마실 만큼 한국인의 커피 소비량은 많습니다.

[김선민/직장인 : 졸릴 때도 있고 집중이 안 될 때가 있는데 그럴 때마다 즐겨 마십니다.]

커피는 1990년부터 발암물질 2-B군 즉, 발암 가능 물질로 지정돼 있습니다.

아주 소량이지만 커피에 포함된 벤젠과 폼알데하이드 같은 유해 물질이 방광에 머물면서 암을 일으킬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그동안 누적된 연구에서 커피와 방광암의 상관관계는 입증되지 않았습니다.

최근엔 오히려 암을 예방한다는 연구가 잇따랐습니다.

하버드대 연구에선 하루에 커피를 3잔 이상 마신 남성은 한 잔 이하로 마신 사람보다 전립선암 위험도가 36% 낮았고, 이탈리아 연구에선 하루 3잔 이상 커피를 마시면 간암 위험도가 40%, 자궁내막암은 25% 정도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덕철/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 (커피 속) 폴리페놀은 색깔이 진한 채소에 많이 들어가 있는 식물성 영양소인데 우리 몸속에 들어오면 항산화 작용(을 합니다.)]

세계보건기구가 25년 만에 커피를 발암 가능 물질에서 제외한다고 외신이 보도했습니다.

하지만 너무 뜨거운 상태로 마시는 건 좋지 않습니다.

어떤 음료든 75도 이상 뜨겁게 마시면 식도암 위험을 최고 8배나 높인다는 연구가 있습니다.

(영상취재 : 신동환, 영상편집 : 오영택)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