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부산 민심 잡으러 간 김무성…"더 큰 정치 하겠다"

부산 민심 잡으러 간 김무성…"더 큰 정치 하겠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4·13 총선을 열흘 앞둔 3일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된 후 처음으로 수도권을 벗어나 부산을 찾았습니다.

김 대표는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된 후 줄곧 이번 총선의 최대 격전지인 서울·수도권 지역에만 집중해왔으나 이날은 발걸음을 부산으로 옮겨 자신의 지역구인 중구 영도구를 비롯해 북강서갑·사상구·사하갑·남구을 총 5곳을 샅샅이 훑었습니다.

이날 중구영도구를 제외하고 김 대표가 발로 누빈 지역구 4곳은 부산 지역구 중 상대당 후보와 접전을 벌이는 격전지들입니다.

애초 김 대표는 당 지지도가 강한 부산·경남(PK)과 대구·경북(TK)보다는 박빙의 승부가 펼쳐질 서울·수도권에 몰두할 계획이었지만, PK에서도 초접전 지역이 나오며 'PK는 여당 텃밭'이란 공식이 흔들리자 부산으로 바삐 발걸음을 옮겼습니다.

김 대표는 박민식 의원 지역구인 북강서갑의 구포시장을 찾아 "오늘 새벽에 (4·3 희생자 추모식이 있어) 제주도에 갔다가 오후엔 제주도 유세를 하려고 했는데 박 의원이 다 죽어간다고 해서 살리러 왔다"고 운을 뗐습니다.

이어 "더불어민주당은 5년에 한 번 있는 대통령 선거에서 집권하려면 박근혜 정부가 망해야 자신들에게 기회가 돌아간다고 여기며 박 대통령이 원하는 모든 일에 발목을 잡고 있다"며 "그런데 (북강서갑) 주민들이 이런 나쁜 정당에서 나온 후보에 왜 높은 지지율을 보여주느냐. 여론조사가 잘못된 것이죠"라고 표를 호소했습니다.

더민주 문재인 전 대표의 지역구인 사상구로 넘어와 손수조 후보의 유세를 지원할 때는 야당 비판의 화력을 더욱 키웠습니다.

김 대표는 문 전 대표에 대해 "4년 전을 가만히 생각해보시면 여러분 많이 후회할 것"이라며 "특별한 연고도 없는 분이 출마해 낙후된 사상을 바로잡겠다고 해 여러분이 국회의원을 만들어줬지만 사상을 발전시킨 것이 있느냐"고 포문을 열었습니다.

또 "정말 같이 국회에 앉아서 국정을 같이 논의하기가 싫을 정도로 너무나 너무나 한심한 짓들을 (더민주가) 하고 있다"고 날을 세우기도 했습니다.

이날 사상구 유세에서는 그간 TK지역 유세에 힘을 쏟았던 최경환 의원이 모습을 보였습니다.

최 의원은 "만약 4년 전 그때 손 후보가 국회의원이 됐다면 야당이 박 대통령 발목 잡는 것 지금보다 적게 했을 것"이라며 "그때 선택을 제대로 했어야 했다"고 말했습니다.

특히 최 의원은 그간 공천과정에서 친박(친박근혜)계와 비박(비박근혜)계 간 계파 갈등이 불거졌던 점을 의식한 듯 '갈등 봉합'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힘썼습니다.

최 의원은 "김 대표가 전국을 누비며 열심히 하는데 손 후보를 당선시켜야 김 대표가 부산에서 체면이 좀 서지 않겠느냐"면서 "김 대표를 위해서라도 꼭 손 후보를 당선시켜달라"고 말했습니다.

최 의원과 김 대표 두 사람은 연설을 마친 손 후보를 함께 손가마를 태워 현장 분위기를 띄우기도 했습니다.

한편, 김 대표는 자신의 지역구인 중구영도구를 방문해 '더 큰 정치'에 대한 포부를 밝혀 눈길을 끌기도 했습니다.

이번 20대 총선에서 지역구로 새로 편입된 중구의 국제시장을 찾은 김 대표는 "이번 선거가 끝나면 당대표를 그만두려고 한다"면서 "이제 더 큰 정치를 해야 하지 않겠느냐"고 말했습니다.

김 대표는 앞서 중구영도구로 20대 총선 공천을 신청해 자신에게 도전장을 내밀었던 최홍 전 ING자산운용 대표와 안성민 전 시의원 등의 사례를 언급하며 "이분들이 열심히 해서 앞으로 4년이 될지 2년이 될지는 모르겠지만, 떳떳하게 국민 공천을 통해 여러분의 선택을 받길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연설 직후 '2년이 될지 모른다'는 발언이 대선을 염두에 둔 것이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김 대표는 웃으며 "그냥 하는 말"이라고 즉답을 피했습니다.

또 김 대표는 "이번에 제가 당선되면 6선 의원으로서, 대한민국 정치를 대표하는 정치인으로서 우리나라 발전을 위해 많은 일을 하고 또 제 고향의 발전 위해서도 노력하겠다"고 말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