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피해자도 찍힌다…'상명하복'에 묻히는 검찰 성범죄

<앵커>

최고 수사권력 기관인 검찰 조직 내부의 성범죄는 조직 특성상 밖으로 잘 알려지지 않을뿐더러 알려지더라도 가해자 처벌보다는 적정선에서 사안이 흐지부지 덮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기수에 따른 위계질서가 강하고 폐쇄적인 조직문화 때문에 괜히 일을 키워서 찍히기보다는 좋게 넘어가자는 식의 분위기가 사태를 더 악화시키고 있는 건 아닌지, 손형안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기자>

지난해 1월 수도권의 한 검찰청에서도 여검사 성추행 의혹이 불거졌습니다. 검찰 고위 간부가 회식 자리에서 부하 여검사를 껴안고 쓰다듬는 등 부적절한 신체 접촉을 했다는 겁니다.

관련 보도가 나가자 해당 검찰청은 즉각 조사에 나섰는데, 당시 검찰은 진상조사보다는 사건을 언론에다 흘린 제보자 색출에 주력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이후 검찰은 여검사들이 부적절하다고 인정하지 않았다는 맥빠진 결론을 내놨습니다.

법조계 안팎에서는 검찰 내 성 문제가 근절되지 않고 계속되는 이유로 위계적인 조직 문화를 꼽습니다.

기수에 따른 상명하복이 중시되다 보니 문제가 일어나면 문제를 일으킨 가해자뿐 아니라 피해자까지 찍혀 함께 불이익을 받는다는 겁니다.

이렇다 보니 진상을 파헤쳐 조사하기보다는 좋게 넘어가지는 식의 분위기가 검찰 내부에 만연하다는 설명입니다.

이 때문에 피해를 당하고도 용기 내 증언하지 못하고 피해자 혼자 앓다가 사건 자체가 흐지부지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검찰 내 성범죄를 근절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철저한 진상조사와 이에 상응하는 엄한 처벌이 필요합니다.

(영상편집 : 장현기)    

[검찰 내부 성폭력 파문]
▶ [단독] "나도 당했다" 전직 여검사도 폭로…계속되는 파문
▶ "서지현 검사는 빙산의 일각…검찰 내 성추행 비일비재"
▶ 성추행·은폐 의혹 당사자들은 '엘리트 검사'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