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정수장 3곳서 미세플라스틱 검출…"우려할 수준 아냐"

서울 영등포·인천 수산·용인 수지 등 국내 정수장 3곳에서 미세플라스틱(5㎜ 이하 플라스틱 조각)이 검출됐습니다.

이 가운데 용인 수지 정수장에서는 2차 검사에서도 미세플라스틱이 나왔습니다.

환경부는 지난 9월부터 두 달간 4대강 수계에서 지표수를 취수하는 24개 정수장 물과 서울시·한국수자원공사가 생산하는 수돗물 병입수 2개 제품, 먹는샘물 6개에 대해 미세플라스틱 실태를 조사한 결과를 오늘(23일) 발표했습니다.

수돗물의 미세플라스틱에 관한 실태조사는 이번이 처음입니다.

조사는 지난 9월 데이터 저널리즘 기관인 오브(Orb)가 세계 각국의 수돗물에서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다고 발표한 뒤 국내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진행됐습니다.

조사항목은 입자크기 1.2㎛(마이크로미터·100만 분의 1m)∼5㎜의 플라스틱이며, 분석은 국립환경과학원과 서울물연구원, 한국수자원공사가 공동 수행했습니다.

분석 결과, 정수 과정을 거치지 않은 원수를 채수한 정수장 12곳 중 인천 수산 정수장의 원수에서 리터당 1개의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습니다.

또 서울 영등포·인천 수산·용인 수지 등 3개 정수장의 정수 과정을 거친 수돗물에서는 리터당 각각 0.4개, 0.6개, 0.2개의 미세플라스틱이 나왔습니다.

2차 검사에서는 용인 수지 정수장에서만 리터당 0.2개가 다시 검출됐습니다.

수도권에서 무작위로 선택한 10개 가정의 수도꼭지에서 나온 수돗물 조사에서는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되지 않았습니다.

서울시와 한국수자원공사의 수돗물 병입수 2개 제품에서는 리터당 각각 0.2개와 0.4개가 검출됐지만, 2차 검사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습니다.

또 시중에서 판매되는 6개사의 먹는샘물 제품을 검사한 결과, 1개 제품에서 리터당 0.2개가 검출됐다고 환경부는 전했습니다.

환경부는 현재 미세플라스틱이 수질 기준으로 설정돼 있지 않은 데다 전 세계적으로도 유해성이 확인되지 않은 상황에서 검사 결과를 공개할 법적 근거가 없다는 법률 자문 결과에 따라 제품명을 공개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이번 공개된 국내 수돗물의 미세플라스틱 실태는 올해 9월 발표된 외국의 검출(리터당 평균 4.3개) 사례보다 낮은 수준입니다.

아울러 미세플라스틱에 대한 외국 정부의 대응상황, 세계보건기구(WHO) 등 국제기구, 국내 전문가 의견 등을 종합하면 우리나라 먹는 물의 미세플라스틱은 걱정하지 않아도 될 수준이라고 환경부는 전했습니다.

미세플라스틱은 주로 음식 섭취와 먼지 흡입으로 인체에 들어옵니다.

입자크기 150㎛를 넘는 미세플라스틱은 소화관 내벽을 통과하지 못해 체외로 배출되고, 150㎛ 미만 입자는 림프계를 통해 체내 흡수되지만, 흡수율은 0.3% 이하에 불과합니다.

환경부는 향후 미세플라스틱이 사람에게 노출되는 경로와 인체 위해성에 대해 체계적인 연구를 추진할 예정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