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연세대 연구진, 모발 재생 촉진 신물질 개발…"탈모 치료 기대"

국내 연구진이 탈모 치료제 후보 물질을 개발해, 동물 실험에서 발모 효과를 확인했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오늘(20일) 최강열 연세대 생명공학과 교수팀이 모발 생성을 막는 원인 단백질을 찾고, 이 단백질의 기능을 저해하는 탈모 치료제 후보 물질을 제작했다고 밝혔습니다.

연구진은 탈모가 진행되는 사람의 두피 조직에 유독 'CXXC5'라는 단백질의 양이 많음에 주목했습니다.

이 단백질은 모발 형성과 상처 치유 등의 역할을 하는 세포 내 신호전달계를 구성하는 핵심 인자입니다.

연구진은 사람 모낭 세포를 연구한 결과, 이 단백질이 다른 단백질에 결합해 모발 생성을 저해함을 확인했습니다.

이는 두 단백질의 결합을 막으면, 모발이 제대로 생성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입니다.

이에 연구진은 실제로 두 단백질의 결합을 막는 단백질 조각인 'PTD-DBM'을 제작해, 쥐에서 효능을 확인했습니다.

털이 없는 부분에 28일간 PTD-DBM를 발라주자, 모낭이 건강해지며 털이 다시 났습니다.

현재 연구진은 동물을 대상으로 이 후보 약물에 독성이 있는지 시험하고 있습니다.

최강열 교수는 "개발된 물질은 탈모 치료는 물론 피부조직의 손상까지 재생하는 치료제 개발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연구는 과기정통부 기초연구지원사업의 지원으로 수행했으며, 연구 결과는 지난달 20일 피부과학 분야 국제학술지 (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에 실렸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