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靑 하루 만에 '의도적 누락' 결론…국방개혁으로 이어지나

靑 하루 만에 '의도적 누락' 결론…국방개혁으로 이어지나
청와대가 국방부의 사드 추가 반입 보고 누락 관련 진상조사에 착수 한 지 하루 만에 '의도적 보고 누락'이라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오늘(31일) 춘추관 브리핑에서 "청와대는 사드 발사대 4기 추가 반입보고 누락과 관련 조사를 진행한 결과 국방부가 4기 추가반입 사실을 보고서에서 의도적으로 누락했음을 확인했다"고 발표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한민구 국방부 장관에게 직접 전화를 걸어 사드 추가반입 사실을 확인하고 민정수석실에 진상조사를 지시한 지 하루 만에 '의도적으로 사드 추가 반입 사실을 보고하지 않았다'는 결론을 내린 것입니다.

청와대 민정수석실은 어젯밤 국방부 국방정책실장과 차장, 정책기획관 등 실무진을 상대로 밤늦게까지 진상조사를 벌여 보고서 초안에는 사드 발사대 6기 반입 사실이 포함돼 있었으나 강독 과정에서 2기 배치로 바뀐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특히 국방부는 국방정책실장이 정의용 청와대 안보실장에게 지난 26일 국방 주요 현안을 보고하면서 발사대 4기가 추가 반입됐다는 사실을 보고했다고 밝혔지만 민정수석실의 조사 결과는 달랐습니다.

민정수석실 조사결과 국방정책실장의 보고가 끝난 후 이상철 안보실 1차장이 사드 담당 장성을 따로 불러 캐물은 후에야 해당 관계자가 사드 발사대 4기의 추가 반입 사실을 실토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국방부가 의도적으로 보고를 누락하고 금방 탄로 난 변명을 한 만큼 청와대는 이를 계기로 사드가 배치된 모든 과정을 확인하는 것은 물론, 김관진 전 청와대 안보실장 등 박근혜 정부의 외교 안보라인에 대해 강도 높은 조사에 착수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을 전망입니다.

우선 민정수석실은 초기 보고서에 기록된 '사드 발사대 6기 모 캠프에 보관'이라는 문구가 최종본에서는 삭제된 경위를 파악하는 데 주력할 것으로 보입니다.

해당 문구의 삭제를 주도한 인물이 누구인지,혹은 상부의 지시나 국방부 외부의 압력이 있었는지에 조사의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보입니다.

또 사드 반입·배치 과정을 조사하던 중 리베이트 등의 비리 혐의가 포착될 경우 전방위적인 방산비리 수사로 확대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청와대 관계자는 "사드 추가 배치처럼 민감한 데다 어차피 드러날 일을 지금까지 보고하지 않은 것 자체가 이해되지 않는다"며 "왜 사드 추가 반입 사실을 감춰야 했는지 철저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