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개성공단 비대위 "대통령 국회연설에 진정성 느껴"

개성공단 비대위 "대통령 국회연설에 진정성 느껴"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이 박근혜 대통령의 국회연설과 지원 약속에 진정성을 느낀다고 화답하며 실질적 보상을 요청했다.

개성공단 입주기업 비상대책위원회는 16일 "입주기업과 협력기업은 정부가 개성공단 가동을 전면 중단하는 과정에서 입주기업에 대한 배려가 부족했던 것에 깊은 아쉬움을 토로해왔다"고 밝혔다.

비대위는 "그러나 (박 대통령이) 입주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투자보전과 경영정상화를 위해 적극 지원하겠다고 언급한 것에 진정성을 느낀다"며 "정부차원의 별도 대책을 마련하고, 신속하고 실질적인 지원을 하겠다는 대통령 말씀에 대해 크게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정부의 개성공단 가동 중단과 입주기업 지원책 발표에 날을 세웠던 지금까지의 반응과 전혀 다른 모습이다.

비대위는 이와 함께 정부가 기업 입장에서 손실 규모를 정확히 파악하고 보상해줄 것을 요청했다.

비대위는 "기업인들도 객관적 자료를 제시해 정부의 피해실태 파악에 적극 협력할 것"이라며 "앞으로 입주기업과 협력기업은 정부를 신뢰해 현재 근로자의 고용을 최대한 유지하고 기업의 경영정상화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개별기업들은 여전히 박 대통령이 국회 연설에서 언급한 내용의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입주기업 관계자들은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박 대통령 연설과 관련해 하나같이 자신들의 실명 언급은 피한 채 익명을 요구하며 발언했다.

정기섭 개성공단기업협회장은 "개인적인 차원에서는 (박 대통령 담화에 대해) 할 말이 없다"고만 말했다.

한 입주기업 관계자는 "남북경협기금의 보험금을 지급한다고 했는데 이건 정부가 하지 않아도 약관에 의해 신청만 하면 받을 수 있는 것으로 의미가 없다"고 밝혔다.

또 "국민의 안전을 위해 사전 통보 없이 공단을 중단했다고 하는데 그렇게 따지면 10일에 공단에 남아있던 280여 명은 국민이 아니라는 말이냐"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입주기업들에 비밀리에라도 공단 중단을 알려줄 수 있었을 텐데 반·완제품, 원·부자재 등을 가져올 시간적 말미를 주지 않아 기업의 생명줄을 끊은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입주기업 관계자는 "대통령이 거론한 경협 보험금 지급은 2013년 당시 정부가 피해보상을 언급했던 것과 비교하면 훨씬 후퇴한 이야기라서 유감스럽다"고 전했다.

그는 "공단에 있는 자산의 가치가 100억원, 200억원이 되더라도 보험금은 70억원 한도내에서 90% 즉, 63억원을 준다는 말인데 이는 상당히 불합리하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근로자들의 안전을 위해 사전 공지를 하지 않았다고 하는데 10일에 중단선언 하고나서 사람들을 내보내면 북측에서 어떤 몽니를 부릴 수도 있었던 것 아니냐"며 정부의 조치에 의문을 제기했다.

담화에서 언급된 대체부지 지원에 대해 또 다른 기업의 관계자는 "기계설비를 설치하려면 몇 개월이 걸릴 것이고 그 사이에 거래처들이 가만히 있을 리 없다"면서 "뭔가 하려고 한다면 보상이 먼저"라고 강조했다.

이어 "일단 보상이 이뤄지면 기업 할 사람들은 할 것이고 안 할 사람들은 안 할 텐데 지금 당장 대체부지가 무슨 소용이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