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朴대통령 국회연설, '북한' 54회·'핵' 23회…'대화'는 제로(종합)

朴대통령 국회연설, '북한' 54회·'핵' 23회…'대화'는 제로(종합) 키워드 분석…'국민' 29회·'도발'20회·'미사일' 13회 사용 대화·교류·신뢰 등의 표현은 현저하게 줄어 '브레이크없이 폭주하는 김정은 정권' 등 김정은 3차례 언급 朴대통령, 연설문 문구 하나하나 '수정ㆍ첨삭' 공들여 (서울=연합뉴스) 이광빈 이한승 기자 = 박근혜 대통령이 16일 '국정에 관한 국회 연설문'에서 자주 사용한 단어를 보면 북한의 도발에 대한 단호한 대응 의지를 읽을 수 있다. 이날 박 대통령 연설문의 핵심 키워드는 바로 '북한'이었다. 박 대통령은 개성공단 중단 등 대북 제재의 정당성을 역설하면서 '북한'이란 단어를 총 54차례 사용했다. 또 '국민'이란 단어는 29차례, '핵'이라는 단어는 23차례, '도발'이란 단어는 20차례, '정부'라는 단어는 19차례 나왔다. 이와 함께 '미사일' 13차례, '한반도' 11차례, '제재' 9차례, '개성공단' 7차례 사용했다. 이밖에 '위협'·'안전'·'북한 정권' 등의 단어가 각각 5차례, '위기'·'규탄' 등의 단어가 4차례, '김정은'·'안보'라는 단어가 각각 3차례 나왔다. 그렇지만 남북 대화나 교류 등의 표현은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 '대화'라는 단어는 단 한 번도 나오지 않았고, '교류'라는 표현도 1차례에 불과했다. 또 '신뢰'라는 단어는 3차례 나왔고, '통일'은 4차례, '협력'은 6차례', '평화'는 8차례 나왔다. '대화'나 '교류' 등의 표현이 현저하게 줄어들고, '핵'이나 '도발' 등의 표현이 많이 사용된 것은 대화가 단절되고 긴장의 파고가 높아진 남북 관계의 현주소를 반영한 것이라는 분석이다. 박 대통령은 연설문 말미에는 국회를 상대로 주요 법안 처리를 요청하는데 할애했다. 전체 연설문 7천645 글자 가운데 박 대통령이 경제활성화 법안과 노동개혁 법안 처리를 호소한 분량은 약 17.5%인 1천344 글자다. 이 과정에서 박 대통령은 '경제'와 '서비스'란 단어를 각각 6차례 사용했고, '일자리'란 단어를 5차례 사용했다. 또 노동개혁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노동'이란 단어를 3차례 사용했다. 한편, 이번 연설은 사흘 전 내부 방침이 결정됐던 만큼 준비 시간이 촉박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경제수석실에서는 이번 연설의 주요 축인 개성공단 가동 잠정중단 조치와 관련해 준비했고, 정책조정수석이 각 수석실로부터 총괄적으로 의견을 수렴해 조율했다. 이어 취사선택 과정을 거치면서 연설문 초안의 가닥이 잡힌 것으로 알려졌다. 박 대통령은 연설 전날부터 연설 직전까지 초안을 놓고 문구 하나하나를 살피며 수정 및 첨삭 작업에 공을 들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 때문에 연설문은 초안과 비교해 상당히 바뀌었다는 후문이다. jesus7864@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