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한은 "가계부채 부실 위험 112만 가구"

한국은행이 가계부채의 잠재위험을 측정하고자 새 지표를 개발해 분석한 결과 112만 가구가 부실 위험에 노출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은행은 오늘(30일) 국회에 제출한 금융안정보고서에서 지난해 실시한 가계금융·복지조사 자료를 토대로 그런 분석결과를 얻었다고 밝혔습니다.

한은은 가계부채의 부실위험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가계의 원리금상환비율과 부채자산비율을 결합한 '가계부실위험지수'라는 새 평가지표를 개발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개별 가구의 원리금상환비율과 부채/자산 비율이 각각 임계치인40%와 100%에 도 달했을 때 가계부실위험지수는 100이 되고, 지수가 100을 넘으면 채무불이행 가능성이 큰 위험가구로 분류된다는 겁니다.

한은이 이 가계부실위험지수 100을 초과하는 가구 현황을 조사한 결과 지난해 위험가구 수는 금융부채를 보유한 전체 천 90만 5천 가구 가운데 10.3%인 112만 2천 가구로, 2013년보다 4천 가구 증가했습니다.

다만 가구당 금융부채 규모가 감소해 이들이 보유한 위험부채 규모는 2013년 166조 3천억 원에서 2014년 143조 원으로 줄어든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전체 부채 보유가구의 가계부실위험지수 평균값은 같은 기간 52.0에서 56.2로 증가해 가계 부문의 위험도가 전반적으로 높아졌습니다.

그러나 개별가구의 부채 규모별로 가중평균해 산출한 가계대출위험지수는 같은 기간 88.7에서 80.0로 줄어 가계 부실이 금융기관에 미치는 영향도는 개선됐습니다.

한은은 "가계 부문의 부실 위험이 저소득층과 저자산 보유자, 비정규직 같은 취약계층 중심으로 증가하면서, 위험가구의 가구당 부채 규모가 1억 5천만 원에서 1억 3천만 원으로 감소했다"고 설명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