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복지 사각지대 (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습니다.)
정부가 연말연시를 맞아 위기의심 아동 약 3만 명을 방문 점검하고 가정 양육 중인 만 3세 아동을 대상으로는 전수 조사를 진행합니다.
보건복지부는 부처 합동으로 만든 겨울철 복지 위기가구 발굴·지원 대책을 오늘(28일) 발표했습니다.
복지부는 빅데이터를 활용해 복지 취약 대상을 발굴하며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 다니지 않는 만 3세 아동은 매년 전수조사를 벌여 소재와 안전을 확인하고 있습니다.
주소지가 불분명한 어르신이 기초연금 혜택을 놓치지 않게 하기 위해 미수급자를 대상으로 전화·방문 조사도 시행합니다.
단전·단수, 건강보험료 체납 등 위기 징후가 있는 복지 위기가구 약 30만 명에 대해서는 지방자치단체에 안내해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위기 상황 가능성이 높은 사람들에게는 사전 문자 메시지를 보내 인공지능 초기 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이후 지자체의 심층 상담으로까지 연계합니다.
또한 겨울 한파·대설특보가 발효될 경우 노인 돌봄 생활지원사가 취약 어르신 약 55만 명의 안부를 확인하도록 합니다.
난방비 지원도 확대합니다.
이전까지 기초생활보장 수급 가구는 가구원 중 노인·영유아·장애인·임산부가 있어야 에너지 바우처를 받을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달부터 다자녀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가구도 에너지바우처 대상으로 확대해 신청받고 있습니다.
아울러 정부는 복지정책의 기준선인 중위소득을 내년에 올해보다 6.51%(4인 가구 기준) 올리고, 노인 일자리는 5만 4천 명 늘리는 등 취약계층 생활 안정 지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이외에 생계가 어려운 국민에게 기본 먹거리와 생필품을 지원하는 '먹거리 기본보장 코너'(그냥드림) 사업이 민·관 협업으로 시작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