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앵커>
동남아시아를 무대로 한 온라인 사기 범죄가 전 세계적인 문제로 떠오르자, 유엔이 공동성명을 내고 국제사회의 공조를 촉구했습니다. 이번 성명은 최근 캄보디아에서 자국민의 구금과 사망 사건까지 겪었던 우리나라의 주도로 이뤄졌습니다.
장선이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건물에서 연기가 솟구치더니 순식간에 폭삭 주저앉습니다.
수천 대의 모니터를 운동장에 놓고 중장비로 깔아뭉갭니다.
미얀마 군부 정권이 태국 국경 인근에 있는 대규모 범죄단지 건물을 강제 철거하는 모습입니다.
지난 18일부터 닷새의 작전 동안 온라인 사기에 가담한 혐의로 1천590명이 체포됐습니다.
범행에 쓰인 컴퓨터 2천800여 대와 휴대전화 2만 1천여 대, 스타링크 위성 수신기 100여 대도 압수됐습니다.
앞서 지난 7월에는 캄보디아 당국의 단속으로 500명 이상의 온라인 범죄 가담자들이 무더기 체포됐습니다.
동남아 각국이 단속의 칼을 빼드는 건 국가 이미지 추락, 그리고 자국 피해를 우려한 중국 정부의 압박 때문입니다.
국제사회도 움직이기 시작했습니다.
유엔에선 우리나라 정부의 주도로 온라인 사기와 인신매매 대응을 촉구하는 공동성명이 발표됐습니다.
미국과 일본, 유럽 등 44개국이 동참했고, 캄보디아도 서명했습니다.
[차지훈/주 유엔대사 : 피해자들은 강제노동과 성착취, 여러 형태의 인권유린으로 고통받고 있습니다. 이런 현실에서 자유로운 나라는 없습니다.]
하지만 우려는 여전합니다.
전문가들은 미얀마 군정의 대규모 단속 같은 조치가 일회성 '보여주기'에 그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합니다.
범죄 조직과 현지 관료들 사이에 유착 관계가 여전히 깊기 때문입니다.
단순한 선언을 넘어, 실제 구속력을 갖춘 강제성 있는 국제 공조가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영상편집 : 김병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