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

뉴스 > 정치

'1인1표제' 내부 반발 확산…민주당, 속도 조절

김상민 기자

입력 : 2025.11.24 20:44|수정 : 2025.11.24 22:12

동영상

<앵커>

대의원과 권리당원이 동등한 표를 가지는 이른바 '1인 1표제' 도입을 두고, 민주당이 결국 결정 시점을 늦추기로 했습니다. 충분한 의논 없이 졸속으로 진행하다는 내부 반발이 커지자, 속도 조절에 나선 겁니다.

보도에 김상민 기자입니다.

<기자>

대의원도, 권리당원도 당 대표 경선 등에서 똑같이 한 표의 비중을 갖게 바꾸는 '1인 1표제'.

이 내용을 담은 당헌·당규 개정안을 민주당 당무위원회가 오늘(24일) 의결했습니다.

개정의 마지막 관문은 중앙위원회의 의결인데, 민주당은 이 회의의 소집을 당초 '오는 28일'로 잡았다가 '다음 달 5일'로 늦췄습니다.

[박수현/민주당 수석대변인 : 거의 이견이 없이 (1인 1표제) 방향에 동의를 하셨습니다. 다만 부족한 점이 있으니 그에 대한 보완을 위해서 숙의하는 시간을 갖자….]

개정 추진의 근거로 삼은 당원 여론조사의 경우, 투표율이 16.8%에 그쳐 대표성이 높지 않단 당내 비판이 나왔는데,

[이언주/민주당 최고위원 : 정해졌으니 무조건 따라오라는 식의 방식은 민주적 절차에 부합하지 않는다, 이렇게 생각합니다.]

김병기 원내대표 등이 '토론 병행' 같은 절충안을 내자 정청래 대표가 개정을 추진하는 시점을 일단, 늦춘 겁니다.

정 대표는 비공개로 열린 당무위에서 특별결의문 채택 등 충분한 논의를 거쳐서 정리되길 바란다는 취지로 말한 걸로 전해졌습니다.

정치권 일각에선 대표직 연임을 노리는 정 대표의 사전 포석에 친이재명계가 제동을 걸고 있단 분석도 있는데, 일부 친명계 의원들은 "과거 이재명 대통령이 대표 시절, 개혁의 80%를 추진했고, 남은 20%를 정 대표가 마무리하는 거다", "보완은 필요하지만, 큰 틀의 방향은 맞다"면서 개정에 힘을 보탭니다.

반면, 일부 친명 당원들 사이에선 당헌·당규 개정안 의결에 대해 무효 확인 가처분 소송을 제기하자는 연판장이 돌기 시작하는 등 민주당 내부의 '1인 1표제' 갈등은 당 중앙위가 열릴 때까지 확산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영상취재 : 전경배·김용우, 영상편집 : 황지영)
S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