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

뉴스 > 국제

"일, 내년 1월 한중일 정상회의 개최 한·중에 타진…중국 거부"

최희진 기자

입력 : 2025.11.22 17:39|수정 : 2025.11.22 17:39


▲ 다카이치 총리, 시진핑 주석

일본이 내년 1월 자국에서 한중일 정상회의를 개최하는 방안을 한국과 중국에 타진했으나, 중국이 거부하고 있다고 교도통신이 복수의 외교 소식통을 인용해 오늘(22일) 보도했습니다.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가 지난 7일 국회에서 타이완 유사시에 집단 자위권 행사가 가능할 수 있다는 취지의 발언을 한 이후 중국이 거세게 반발하며 대항 조치를 내놓는 등 중일 관계가 악화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중국은 오는 24일 마카오에서 개최할 계획이었던 한중일 문화장관 회의를 연기했고, 오늘부터 23일까지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중일 총리 간 만남이 예정돼 있지 않다고 밝히는 등 사실상 일본과 대화를 거부하고 있습니다.

한중일 정상회의 의장국인 일본은 본래 연내 개최를 추진했으나, 임시국회 일정 등을 고려해 수면 아래에서 내년 1월에 3국 정상회의를 여는 방안을 조율해 왔습니다.

하지만 중국은 외교 경로를 통해 관계국에 "(다카이치) 총리가 적절히 대응하지 않기 때문에 정상회의에 응할 수 없다"는 의사를 전달했다고 교도통신이 전했습니다.

교도는 관계국이 어떤 나라인지 언급하지 않았으나, 한국일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일본은 내년 2월 이후로 시기를 옮겨서라도 조기에 한중일 정상회의를 개최할 방침입니다.

그러나 2월에는 중국 춘제 연휴가 있고, 3월에는 통상적으로 중국에서 전국인민대표대회 (전인대)가 열려 일정 조율이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교도통신이 전했습니다.

교도는 "다카이치 총리 발언 영향이 중일 간에 그치지 않고 한중일 3국 협력 관계로 확대되고 있다"며 2012년 일본이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 열도를 국유화했을 당시에도 중일 관계가 얼어붙어 한중일 정상회의가 약 3년 반 동안 중단됐다고 전했습니다.

한중일 정상회의는 지난해 5월 서울에서 마지막으로 열렸습니다.

향후 회의가 열릴 경우 이재명 대통령,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 다카이치 총리가 참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S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