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력단절 지원사업
올해 상반기 미성년 자녀와 함께 사는 기혼여성 가운데 경력 단절을 겪은 비율이 약 21%로 나타났습니다.
정부의 일·가정 양립 정책과 사회 인식 변화로 지속 하락해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지만, 자녀가 어리거나 많을수록 여전히 높은 경향을 보였습니다.
국가데이터처가 오늘(20일) 발표한 '지역별 고용 조사: 기혼 여성(15∼54세)의 고용 현황'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4월) 기준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경력 단절 여성은 88만 5천 명으로 작년보다 8만 5천 명 감소했습니다.
18세 미만 자녀와 사는 기혼여성 중 경력 단절 여성의 비율은 21.3%입니다.
작년보다 1.4%포인트(p) 낮아지며 2014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낮았습니다.
경력 단절 여성은 결혼, 임신과 출산, 육아, 자녀교육, 가족 돌봄의 사유로 직장을 그만둔 미취업 여성을 의미합니다.
최근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가 늘고 고용률 상승을 여성이 주도하는 흐름, 정부의 육아·출산 정책이 영향을 미쳤다고 데이터처 관계자는 설명했습니다.
다만 자녀가 많을수록, 어릴수록 경력 단절 여성 비율은 높았습니다.
자녀 연령별로 경력 단절 여성 규모는 6세 이하에서 46만 1천 명으로 가장 많았고, 7∼12세 29만 2천 명, 13~17세 13만 3천 명 순이었습니다.
경력 단절 여성 비율은 자녀 6세 이하에서 31.6%로 30%를 웃돌았습니다.
작년보다는 1.9%p 낮아졌습니다.
7∼12세는 18.7%, 13∼17세는 11.8%로 각각 나타났습니다.
자녀 수별로는 자녀 1명일 때 20.2%로 가장 낮고 자녀 2명 22.3%, 3명 이상 23.9%로 높아집니다.
자녀와 살지 않거나 자녀가 없는 경우를 포함한 전체 15∼54세 기혼여성 가운데 경력 단절 여성은 110만 5천 명으로 집계됐습니다.
비율로는 14.9%로 작년보다 1.0%p 떨어지며 마찬가지로 역대 가장 낮았습니다.
경력 단절 여성(110만 5천 명)이 일을 그만둔 사유로는 육아가 49만 명으로 전체의 44.3%를 차지해 가장 많았습니다.
10명 중 4명 꼴입니다.
결혼 26만 8천 명(24.2%), 임신·출산 24만 4천 명(22.1%) 순으로 뒤를 이었습니다.
작년보다 임신·출산은 5만 3천 명 줄었고, 결혼(-3만 6천 명), 육아와 자녀교육(각 -1만 명), 가족 돌봄(-2천 명) 모두 감소했습니다.
기혼 여성의 고용률은 67.3%로 작년보다 1.3%p 상승했습니다.
2016년 관련 통계 집계 이래 가장 높습니다.
미성년 자녀와 함께 사는 기혼여성의 고용률은 64.3%로 1.9%p 높아졌습니다.
자녀 수, 자녀 연령별 격차는 점차 축소되는 흐름이라는 게 데이터처의 설명입니다.
자녀 연령별 고용률은 6세 이하에서 57.7%로 1년 전보다 2.1%p 높아졌습니다.
7∼12세(66.1%)는 1.8%p, 13∼17세(70.4%)는 1.2%p 각각 상승했습니다.
특히 13∼17세 자녀와 함께 사는 여성의 고용률은 처음 70%를 넘었습니다.
자녀 수별로는 자녀 1명과 2명의 고용률이 64.6%로 같아졌습니다.
3명 이상일 때는 60.6%였습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