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

뉴스 > 사회

증인 윤 '선택적 답변'…"한덕수, 계엄 반대"

백운 기자

입력 : 2025.11.20 01:06|수정 : 2025.11.20 01:06

동영상

<앵커>

윤석열 전 대통령이 한덕수 전 국무총리 재판에 증인으로 나왔습니다. 내란 관련 재판에 증인으로 나온 건 처음인데, 특검의 질문에 하고 싶은 말만 선택적으로 답변했습니다.

보도에 백운 기자입니다.

<기자>

한덕수 전 국무총리의 내란 우두머리 방조 혐의 10번째 공판.

불출석할 거라던 윤석열 전 대통령이 증인석에 섰습니다.

지난 기일 출석하지 않아 이미 구인영장이 발부된 상태였는데, 재판부가 강제구인 방침을 분명히 하자 출석한 겁니다.

[이진관/서울중앙지법 형사33부 재판장(어제) : 강제처분 형태로 영장이 발부된 것이기 때문에 당사자의 의사는 고려하지 않습니다. 의사와 관계없이 집행을 해야 한다는 게 재판부 입장입니다.]

윤 전 대통령은 증인 선서는 했지만, 탄핵심판과 내란 재판 조서를 참고하라며 증언 거부를 시사했습니다.

이후 답하고 싶은 질문에만 선택적으로 답했습니다.

한 전 총리의 내란 방조 혐의와 관련해선, 한 전 총리가 반대하는 취지로 말했다"고 증언했습니다.

[윤석열/전 대통령(어제) : 반대라는 취지죠 그게. 반대라는 단어를 썼는지, 어떤지는 기억이 나지 않습니다만, 저한테는 반대 취지로 했기 때문에.]

정족수 11명만 채운 2분짜리 계엄 국무회의에 대해선 보안을 위해 통상의 국무회의처럼 소집할 순 없었다고 주장했습니다.

[윤석열/전 대통령(어제) : 계엄 선포 방송으로 할 때까지는 보안 유지를 해야 한다는게 중요한 상황이었습니다. (국무위원) 13명까지는 확실하게 올 수 있다고 생각을 해서 연락을 했는데 두 분이 좀 늦게 와서….]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이 국무회의 외관을 갖추기 위해 일부 국무위원만 불렀다고 의심하고 있는데, 윤 전 대통령이 국무위원 모두에게 연락한 건 아니라는 걸 인정하면서도, 보안을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고 반박한 겁니다.

사후 계엄 문건 폐기에 대해선, "강의구 전 부속실장이 폐기 뒤 한참 지나서 보고했다"며 자신의 책임을 부인했습니다.

계엄 당일 추경호 전 국민의힘 원내대표와 2분간 통화한 것에 대해선, "미리 말 못 해 미안하다"는 취지였다며 따로 지시한 건 없었다고 주장했습니다.

(영상취재 : 김승태, 영상편집 : 김윤성, 디자인 : 최재영)
S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