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앵커>
전남 신안의 염전에서 또다시 수십 년간 노동 착취를 당한 지적장애인 피해자가 발견됐다는 소식, 지난달 전해 드렸습니다. 그런데 주한 미국 대사관이 이 사안에 대한 진상 파악에 나선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하정연 기자가 단독 취재했습니다.
<기자>
주한 미국대사관 관계자들이 한 장애인 단체 사무실로 들어갑니다.
전남 신안의 한 염전에서 수십 년간 노동 착취를 당한 60대 지적 장애인 장 모 씨가 발견됐다는 지난달 SBS 보도와 관련해, 피해자 변호인, 장애인 단체와 면담에 나선 겁니다.
미 대사관 측은 지난 2014년 염전노예 사건 때 피해자로 파악됐던 장 모 씨가 당시 구조되지 못했던 이유와, 신안군이 2023년 염전주를 수사 의뢰한 뒤에도 피해자 분리가 이뤄지지 않은 경위 등을 집중적으로 질문한 걸로 전해졌습니다.
[김치훈/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 소장 : (미국 대사관 측에서) 왜 이제 이런 사건이 다시 발생을 한 것인가, 구조적 원인이 어디에 있을까라는 것에 대한 파악을 원했고….]
미 대사관은 보고서를 작성해 본국에 보낼 것으로 알려졌는데, 미 국무부가 매년 발간하는 인신매매보고서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관측도 있습니다.
보고서는 인신매매 근절을 위한 각국 정부의 노력과 실적을 반영해 1~3등급으로 분류합니다.
우리나라는 지난 2022년 보고서에서 20년 만에 처음으로 2등급으로 강등된 적이 있습니다.
당시 이주 노동자 강제노동과 피해자 보호 미흡 등이 강등 사유로 제시됐는데, 한 해 전 발생한 태평염전 강제노동 사건이 미국 정부의 부정적 인식을 강화했다는 평가도 있었습니다.
지난 4월 태평염전 천일염에 대해 미국이 수입보류 조치를 내린 것처럼 통상 이슈로 비화할 여지도 있습니다.
[최정규 변호사/염전 노동 피해자 변호인 : 단순히 어떤 인권 상황만 보고하는 게 아니라 결국엔 그게 그 나라와 우리(미국 정부)가 과연 무역을 할 것이냐, 교역을 할 것이냐와도 굉장히 직결되는 문제로….]
인권단체 등은 국가기관과 지방자치단체들이 염전노예 근절을 위한 노력을 다했는지, 또 법령 위반이나 부패행위는 없었는지에 대해 감사원에 국민감사를 청구할 계획입니다.
(영상취재 : 조창현, 영상편집 : 최혜영, 디자인 : 강경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