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다카이치 일본 총리의 '타이완 개입' 시사 발언 이후 연일 일본을 향해 강한 비난을 쏟아내고 있는 중국 정부가 이례적으로 일본의 '독도 주권' 주장까지 비판 범위에 포함했습니다.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오늘(17일) 정례 브리핑에서 지난 14일 한국 외교부가 독도 주권을 선전하는 도쿄의 영토주권전시관 확장에 강력히 항의한 것과 관련해 중국 관영매체로부터 논평 요청을 받았습니다.
마오닝 대변인은 이에 "이 문제에 대한 보도에 주목했다"며 "최근 일본의 많은 악성 언행이 주변 국가의 경계와 불만, 항의를 유발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일본이 침략 역사를 심각하게 반성하고, 평화의 길을 걷기를 고수하며, 실제 행동으로 아시아 이웃 국가와 국제 사회의 신뢰를 얻기를 촉구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중국은 그동안 일본과의 영유권 분쟁지역인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열도에 대해서는 "중국의 고유영토"라고 주장하면서도 독도 문제에 대해선 말을 아껴왔습니다.
이날 답변은 '독도'를 직접 거론하지 않으면서도 일본의 '악성 언행'을 비판함으로써 우회적으로 한국 정부를 지지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다카이치 총리의 발언 이후 중국이 정부와 관영매체를 동원해 연일 공세를 펴고, 일본 여행 자제령을 내리거나 경제 제재 가능성을 거론하는 등 '한일령'(限日令) 이야기까지 나오는 상황에서 또 다른 이웃 국가인 한국과의 관계는 다지는 포석이라는 해석도 나옵니다.
중국 외교부가 독도 문제를 두고 답변했던 사례는 아베 일본 총리가 집권했던 2014년 2월이 대표적입니다.
중국 외교부는 당시 한국 정부가 일본 시마네현에서 열린 '다케시마(독도의 일본식 명칭)의 날' 행사를 비판하자 "중국은 한일 양국이 대화를 통해 그 문제를 해결하기를 바라지만 동시에 지적하고 싶은 것이 있다"며 "일본과 이웃 국가 사이에 벌어지는 영토 분쟁 문제는 모두 일본의 대외침략전쟁 및 식민 통치 역사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지적하며 사실상 일본을 비판했습니다.
마오닝 대변인은 이어진 홍콩 매체 질의에 대한 답변에서는 지난 9일과 10일 한국 인근 해역에서 중국 어선이 잇따라 전복된 뒤 한국이 신속히 수색·구조 작업을 폈다며 "중국은 이를 높이 평가하고 진심으로 감사한다"고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일본과 관련한 질문들에는 강경한 답변이 이어졌습니다.
마오 대변인은 "일본의 어떤 당파, 어떤 사람이 집권하든 일본 정부는 타이완 문제에서의 약속을 견지·준수해야 한다"면서 "우리는 일본이 역사와 양자 관계에 대한 책임지는 태도로 선 넘기와 불장난을 중지하고 잘못된 언행을 철회하며 대(對)중국 약속을 실제 행동으로 보여주기를 촉구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최근 중일 공동 여론조사 결과 발표와 도쿄-베이징포럼이 중국의 요구로 연기된 문제에 대해선 "다카이치 수상의 타이완 관련 도발 발언이 중일 관계의 정치적 기초를 심각하게 파괴했고 양국의 민의 분위기를 악화시켰다"며 "앞선 중일 공동 여론조사 결과의 환경과 조건에 이미 중대한 변화가 발생해 결과의 현실성과 발표 시기를 다시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마오 대변인은 "그 책임은 완전히 일본 지도자의 잘못된 발언에 있다"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