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

뉴스 > 경제

청약 경쟁률 서울이 비서울의 32배…올해가 역대 최대 격차

하정연 기자

입력 : 2025.11.16 09:30|수정 : 2025.11.16 09:30


▲ 서울 강남 아파트 청약 견본주택에 몰린 사람들

서울과 비서울의 아파트 청약 경쟁률 격차가 올해 역대 최대로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6일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가 한국부동산원 청약홈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1∼10월 서울의 1순위 청약 경쟁률은 평균 136.0대 1로 집계됐습니다.

이에 반해 같은 기간 서울이 아닌 지역(비서울)의 평균 청약 경쟁률은 4.2대 1이었습니다.

서울의 청약 경쟁률이 비서울 청약 경쟁률의 32.4배로, 리얼투데이가 청약 통계를 집계한 2010년 이래 사상 최대 격차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서울과 비서울 간 청약 경쟁률 격차(배율)는 2019년까지 3배를 밑돌았습니다.

이후 2020년 3.7배, 2021년 9.4배, 2022년 1.3배, 2023년 7.1배에 이어 지난해 13.9배로 벌어졌고, 올해(32.4배) 격차가 더욱 커졌습니다.

서울의 청약 평균 경쟁률은 2021년 163.8대 1로 정점을 찍은 뒤 2022년 10.3대 1로 급락했으나 이후 3년째(2023년 56.9대 1→지난해 108.3대 1→올해 136.0대 1) 상승세입니다.

올해 서울에서 분양한 아파트 단지별 1순위 청약 경쟁률 1∼3위는 성동구 성수동1가 오티에르포레(688.1대 1), 송파구 신천동 잠실르엘(631.6대 1), 중랑구 중화동 리버센SK뷰롯데캐슬(430.대 1) 순으로 모두 세 자릿수 경쟁률을 나타냈습니다.

반면 비서울 지역의 청약 평균 경쟁률은 5년째(2020년 23.8대 1→2021년 17.5대 1→2022년 8.1대 1→2023년 7.9대 1→작년 7.8대 1→올해 4.2대 1) 하락세입니다.

특히 서울을 제외한 수도권(경기·인천)의 청약 평균 경쟁률 또한 2020년 28.4대 1로 역대 최고치를 찍은 뒤 2022년 7.6대 1, 2023년 7.3대 1, 2024년 9.3대 1, 올해 3.8대 1 등으로 한 자릿수에 머물렀습니다.

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경기·인천에서 조합원 취소분이나 자격 상실 세대 등에 의한 청약을 제외하면 세 자릿수 경쟁률을 기록한 단지는 없었습니다.

서울의 청약 경쟁률이 유독 높은 것은 지역 개발과 주택 공급이 이미 많이 진행된 데다, 신규 공급이 대부분 정비사업을 통해 이뤄지면서 일반분양 물량이 제한적이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실제 올해 1∼10월 서울 아파트 일반공급 물량은 1천670가구로, 인천·경기(3만 1천199가구)나 지방(4만 2천240가구)과 견줘 현저히 적었습니다.

그런데도 1순위 청약자는 서울이 22만 7천155명으로, 지방(18만 8천340명)이나 인천·경기(11만 9천502명)를 훨씬 웃돌았습니다.

리얼투데이 구자민 연구원은 "청약 시장의 양극화는 이제 '수도권 대 지방'보다는 '서울 대 비서울'로 재편되는 모습"이라며 "서울은 규제지역으로 지정돼 자금 조달 측면에서 제약이 따르지만, 여전히 공급량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추가 수요가 유입될 여지는 충분하다"고 진단했습니다.
S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