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앵커>
한미정상회담이 끝난 지 벌써 보름이 됐지만, 두 나라의 공동 설명자료는 아직 나오지 않고 있습니다. 미국 정부 부처들 사이 서로 의견이 달라 늦어지고 있는 것인데, 러트닉 미 상무장관이 우리나라의 사용 후 핵연료 재처리와 우라늄 농축 관련 내용을 이 자료에서 삭제하자는 주장을 펴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강민우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달 29일, 경주 한미정상회담을 통해 양국은 관세와 안보 분야에서 큰 틀의 합의를 이뤘습니다.
하지만 미국 정부 부처 내 이견 탓에 양해각서와 팩트시트 발표는 지연되고 있습니다.
SBS 취재 결과,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이 한국의 '사용 후 핵연료 재처리'와 '우라늄 농축'과 관련한 문안을 조인트 팩트시트에서 삭제하자고 주장하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한미 정상 간 충분히 논의되지 않은 사안이라고 주장하며 삭제를 요구하는 것입니다.
여권에서 언급된 이른바 '러트닉의 몽니'가 이 내용이었던 셈인데,
[김영배/민주당 의원 (지난 10일, KBS 라디오 '전격시사') : 상무장관이 더 몽니를 부린다라고 제가 들었습니다. 러트닉 장관이 아마도 다른 욕심을 좀 내는 거 아닌가라고 할 정도로.]
다만, 러트닉 장관은 '한국에서 선체와 원자로의 제작', '미국의 봉인 핵연료 한국 제공'과 같은 한국 원자력추진잠수함 관련 내용이 팩트시트에 담기는 데 대해서는 이견을 표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한미원자력협정 개정 문제와도 직결된 '사용 후 핵연료 재처리' 등에 대해서 어깃장을 놓는 것은 상업용 원전 분야 등의 미국 이익과도 관련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대통령실은 인내심을 갖고 협의에 노력 중이라는 입장인데, 이런 국면이 장기화할 거라 보지는 않는 분위기입니다.
정부는 또, 핵심 안보 이슈들을 망라한 한미안보협의회의, SCM의 공동성명이 팩트시트 문제와 연계돼 발표가 지연되는 상황에 대한 우려도 미 측에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영상취재 : 이병주·하 륭, 영상편집 : 박춘배, 디자인 : 방민주)